
미국의 한 연방 상원의원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으로 손을 맞잡은 한중일 3국 장관 사진에 충격적이라고 평가했다.
야당 민주당 소속인 브라이언 샤츠 상원의원(하와이)은 지난 4일(현지시간) 상원 본회의장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등 고강도 관세 드라이브가 미국 경제와 대외관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번 주초 수년 만에 중국, 일본, 한국이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대응으로 3국 자유무역에 대한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며 3국 통상장관의 악수는 "가장 충격적인 이미지"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이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이 지난달 30일 서울에서 약 5년 만에 열린 3국 경제통상장관회의 당시 나란히 선 채 3자간 악수하는 장면을 거론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미국시간 4월2일)를 앞두고 회동한 세 장관은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샤츠 의원은 한일 장관이 중국 장관과 글자 그대로 손을 맞잡은 것은 "그들이 우리에 대항해 뭉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하며 이는 "도널드 트럼프가 세계를 뭉치게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은 지금은 더 나은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수십 년 간 외교적으로 많은 도전과 갈등이 있던 나라들이다"라고 설명하며 "이들이 악수를 하는 것만으로도 큰 일인데 중국의 고위 관리와 악수를 하는 것은, 말 그대로 그들이 우리에게 대항하기 위해 함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의 이번 관세 정책이 경제적·전략적으로 중국에 함께 대항할 세계 각국과의 경제적 연결고리를 잘라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WSJ는 "반미 정서는 이러한 지역에서 여전히 강력한 정치적 힘이고, 이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거대한 시장인 중국은 그 대안이 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