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말 보험사들의 지급여력비율이 10% 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잠정 순이익도 15% 넘게 감소했다.
금융감독원이 15일 발표한 '2024년 12월말 기준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경과조치 적용 후 보험회사의 지급여력 비율(K-ICS)은 206.7%로, 전 분기말(218.3%) 대비 11.6% 하락했다. 이는 전년 말(232.2%) 대비해서는 25.5%p 하락한 수치다.
생보사는 203.4%로 전 분기말 대비 8.3%p 내렸고, 손보사는 211.0%로 16.0%p 내렸다. 사별로 보면 ABL생명(153.7%), 푸본현대생명(157.3%), 롯데손보(154.6%)가 감독기준인 150%를 간신히 넘겼고, MG손보는 4.1%를 기록했다.
금감원은 "K-ICS 비율 하락은 시장금리 하락으로 가용자본이 감소한 반면, 새 회계제도 상 보험계약마진(CSM)을 확보하기 위해 장기 보장성 보험 중심의 판매를 확대하면서 요구자본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작년까지 사상 최대 실적 경신 행진을 쓰던 보험사 실적도 주춤해졌다. 보험사 '당기 순이익'은 작년 14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으나, 올해 1분기 잠정 순이익은 4조1천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5.8% 감소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보험사의 자본증권 발행 등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보험사 자본규제 감독기준인 K-ICS비율 150%를 130%로 합리화하기로 하고, 시행령과 감독규정을 입법 예고 중이다.
이세훈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자본규제 합리화를 늦지 않게 시행할 예정"이라며 "기본자본 지급여력비율 도입도 하반기 중에 구체적인 안을 마련하고, 충분한 유예기간을 거쳐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롯데손보의 후순위채 조기상환 보류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자본확충 방안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 수석부원장은 "롯데손보도 주주와 협의해 구체적인 계획을 설립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당국과 긴밀히 협의해 이른 시간 안에 정상화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