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메뉴

경제


‘시베리아급’ 청년고용한파…2000년 이후 최고 실업률

2017년 취업자 31만7,000명 증가, 최근 5년간 감소 추세
청년실업률 9.9%…2000년 이후 최고


고용시장에 부는 한파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 모습이다.


특히, 지난해 청년 고용시장은 ‘시베리아급 한파’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침체됐다.


10일 통계청이 내놓은 ‘2017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 수는 2,655만2,000명으로 2016년(29만9,000명)대비 31만7,000명 증가했다.


이는 2016년보다 늘었지만, 2015년보다는 줄어든 것이다. 최근 5개년 취업자 수 증가폭을 살펴보면 2013년 38만6,000명, 2014년 53만3,000명을 정점으로 2015년 33만7,000명 등 감소세를 이어갔다.


산업별로는 건설업(11만5,000명, 6.2%),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만2,000명, 3.3%),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5만2,000명, 5.2%) 등에서 증가했지만, 운수업(-2만1,000명, -1.5%), 금융 및 보험업(-1만4,000명, -1.8%), 제조업(-1만2,000명, -0.3%) 등에서 감소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에서 25만4,000명, 50대에서 13만5,000명, 25~29세에서 2만9,000명 등으로 증가했지만, 40대에서 5만4,000명, 20~24세에서 4만7,000명, 30대에서 6,000명 감소하는 등 청년층의 고용사정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실업률은 3.7%로 2016년과 같았지만, 청년실업률은 9.9%로 2000년 이후 가장 높았다.


한편, 지난해 12월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25만3,000명 증가한 2,642만1,000명으로 집계돼 10월, 11월에 이어 세 달 연속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30만명을 넘지 못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3개월 연속으로 30만명 미만을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7년 8월부터 2010년 3월 이후 처음이다.


산업별로는 제조업(8만8,000명, 2.0%),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8만1,000명, 8.3%), 건설업(8만명, 4.1%) 등에서 증가했고, 숙박 및 음식점업(-4만9,000명, -2.1%), 교육서비스업(02만5,000명, -1.3%),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2만1,000명, -1.9%) 등에서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 15~64세 고용률은 66.5%였다.


전체 실업률은 3.3%로 1년 전보다 0.1%p 상승했고, 청년실업률은 같은 기간 0.8%p 오른 9.2%로 집계됐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던 A기업, 실제 기부액 ‘0 원’
- 김 판매 A기업, “ 수익의 2% 독도경비대에 기부” 홍보 - 독도경비대는 공무원 신분 「 기부금품법 」 따라 기부 불가 - ‘독도의 날’ 마케팅 악용해 허위 홍보, “국민 기만행위 중단해야” 수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A기업은 독도의 상징성을 내세워 올해 9월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보조배터리를 판매하며 “판매수익금의 2%는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고 언론을 통해 홍보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업의 기부 사실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A기업이 기부의사를 밝힌 바 없어 인지하지 못했던 상황이며, 독도경비대 대원 모두 공무원 신분이라 기부금품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향후 A기업이 기부 의사를 밝힐 경우에도 받을 수 없음을 설명하고 거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 기업은 독도경비대 기부 미납 실태에 대해 “보조배터리를 제조한 B기업이 독단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자사는 해수부가 문의한 오늘에야 인지했다”며 “B기업이 ‘독도경비대’와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