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


KT ‘에어맵 코리아’, UN환경계획과 세계 환경문제 개선에 동참

 

KT는 지난 11일부터 오는 15일까지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리는 ‘제4차 UN환경총회(4th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4th UNEA)’에 초청받아 ‘에어맵 코리아’의 글로벌 확산계획을 발표하고, KT의 빅데이터 플랫폼 역량을 기반으로 UN환경계획과 ‘글로벌 에어맵’ 구축 프로젝트에 협력한다고 13일 밝혔다.

 

UN환경총회는 2년마다 193개 UN회원국의 국가 정상급 리더, 환경부 장·차관, 기업체 CEO 등이 참여해 글로벌 환경문제를 논의하는 자리로, 이번 4th UNEA는 전 세계 ‘환경문제 해결 및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주제로 열렸다.

 

KT는 지난해 12월 글로벌 환경문제 개선을 위해 UN환경계획과 협약을 체결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 빅데이터 협력(Harnessing Big Data on the Environ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패널 토의에 참여,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에어맵 코리아’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또한 ICT를 활용해 환경사업을 하는 구글 어스(Google Earth), 케냐의 1위 통신 사업자 ‘사파리콤’ 등과 ‘글로벌 에어맵’ 구축 프로젝트를 위한 비즈니스 협력 방안도 논의했다.

 

관련해서 KT는 ‘에어맵 코리아’의 핵심 역량을 활용, 글로벌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UN환경계획의 글로벌 환경종합상황실(World Environment Situation Room) 구축 사업에 참여하기로 합의했다.

 

 

조이스 수야(Ms. Joyce Msuya) 부사무총장(사무총장 대행)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AI 등 혁신적인 ICT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 기업인 KT와의 협력이 글로벌 환경문제 개선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 믿는다”며 상호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동면 KT 미래플랫폼사업부문장(사장)은 “이번 UN환경총회 참여를 계기로 KT ‘에어맵 코리아’는 이제 국내를 넘어 글로벌로 나가게 됐다”면서 “앞으로 UN환경계획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해 글로벌 환경문제 개선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KT는 총회 기간 국내에 구축한 전국 규모의 공기질 측정망 및 개방형 플랫폼 구축 사례, 빅데이터 분석 사례, 에어맵 애플리케이션 등 ‘에어맵 코리아’ 관련 솔루션을 선보이는 환경총회 전시회에도 참여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