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2일 화요일

메뉴

정치


윤한홍 의원 “소주성 1년, 지난해 외감기업 20% 재무취약기업”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추진된 지 1년이 경과한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외부감사를 받는 기업 10곳 중 2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거나 완전 자본잠식 등에 빠진 재무취약기업이며, 그 숫자 또한 증가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은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2018년 재무취약기업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외부감사를 받고 연간사업보고서를 공시한 법인 기업 2만2,896개의 20%에 해당하는 4,584개 기업이 재무취약기업이었다고 밝혔다.

 

재무취약기업 분석은 한국은행이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자보상배율과 기업의 유동성 상황, 손실흡수력 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를 종합 분석하는 것으로,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의 기업 수 ▲3년 연속 영업활동 연금흐름 순유출 기업 수 ▲완전 자본잠식 등 3가지 기준 중 한 가지 이상에 해당하면 재무취약기업으로 분류된다.

최근 5년간 재무취약기업은 지속 감소 추세에 있다가 현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이 본격화된 2017년 이후 증가세로 전환됐다.

 

전체 재무취약기업은 2014년 22%에서 2017년 19.6%로 하락했지만 2018년 다시 20%로 증가했다.

 

이는 대기업(2014년 18.7% → 2017년 13.8% → 2018년 14.3%), 중소기업(2014년 22.7% → 2017년 20.8% → 2018년 21.3%) 모두에게서 나타나, 재무건전성 악화가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 재무취약기업이 증가하고 있었고, 자동차, 조선, 기계짱비 업종이 제조업 재무취약기업 증가를 주도했다. 한국 주력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제조업의 경우 재무취약기업 비중은 전년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24.3%로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숙박·음식업의 경우 전체 기업의 41.5%가 재무취약기업으로, 모든 업종을 통틀어 가장 높았다.

 

윤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반기업 정책이 우리나라 경제의 근간을 흔드는 것으로, 취약기업 증가는 각 기업의 경쟁력 악화를 의미하고, 이는 곧 고용 부진과 가계소득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허무맹랑한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즉각 폐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소비자원, 직원 사칭· 대리결제 등 소상공인에 '사기 주의보'
한국소비자원이 기관 직원을 사칭하며 자영업자에게 접근해 판매물품 구매를 조건으로 다른 물품 결제를 대신하도록 유도하는 사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며 소상공인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한 남성이 꽃집, 화훼농원 등에 전화해 "한국소비자원 직원인데 나무, 화분 등을 대량 구매하고 싶다"며 견적서를 요청했다."이후 기관 상징(CI)과 홈페이지 주소가 인쇄된 명함을 보낸 뒤, ‘물품 구매 확약서’ 작성이나 홍삼·매실원액 등 다른 제품을 대신 구입해 달라며 대리 결제를 유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최근 어려운 경기를 틈타 소상공인들의 절박한 심리를 이용한 사기 행위가 끊이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공공기관은 결코 물품 구매를 위해 대리 결제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소비자원은 소상공인에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구매대행 요구에 절대 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1일 '햅핑'이 운영하는 '의류 도매 S-마트' 쇼핑몰을 이용한 소비자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소비자원은 최근 1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 81건은 대부분 배송 지연 등으로 인한 정당한 환급 요구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