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정치


국정원 “北, 코로나 확산에도 핵실험 준비 끝내고 타이밍 보고있다”

“北 코로나 확산은 4월 열병식 때문”

 

북한이 올해 16번째 미사일을 발사 할 징후가 있다는 국정원의 분석이 나왔다.

 

국회 정보위원회 간사인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19일 국회에서 정보위가 비공개로 진행한 전체회의에 국정원 북한국장이 출석해 “국회에 북한 내 코로나19가 확산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미사일 발사 징후가 있으며 핵실험 준비를 끝내고 타이밍을 보는 중”이라고 보고했다고 전했다.

 

하 의원은 북한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 일정에 맞춰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에 대해 “발사 징후가 있고 준비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같은 질문에 "징후를 포착했기 때문에 준비는 완료 단계에 있다“며 ”어떤 시점에서 미사일이 발사되고 핵실험을 하더라도 이상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어떤 미사일이 발사 가능성이 있는가 묻는 질문에는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으로 추정하지만 따로 보고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의 코로나 확산은 4월 열병식이 원인으로 같은달 말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김 의원은 “(코로나19가) 4월 열병식 이후 군인과 전국의 경축 대표들이 평양에 들어온 것으로 인해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의 코로나 확산세에 대해 “5월 말에서 6월 초면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5월 16일 이후 신규 발열자가 감소세라 주장하고, 사망자와 코로나 확진자는 발열자에 비해 숫자가 적어 큰 의미를 둘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하 의원도 마찬가지로 “북한 내에서도 코로나 공포에 대해 빨리 적응해 체제 혼란이나 체제 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북한이 발열자 숫자를 발표하는 것은 (코로나가) 너무 확산돼 있는 상태에서 민심 진정과 통제를 위해 관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차원”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 19 백신과 관련해 북한의 입장 변경에 대한 보고도 있었다.

 

하 의원은 “백신에 대한 북한의 입장은 ‘효과가 없다, 맞을 필요 없다‘였지만 5월 17일부터 공식적으로 바뀌었다”며 “당일 노동신문이 백신접종이 효과 있다 보도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한 대외지원에 대해서는 “우선순위가 중국이고 그 다음이 국제기구, 미국과 한국이 제일 마지막 순서”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 또한 북한이 대한민국의 지원을 거부했는가 하는 질문에는 “응답은 없지만 실질적으로 거부한 것이라 판단된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