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메뉴

정치


돈 봉투 명단에 언급된 김회재 의원, “돈 받은 적 없어... 정치탄압, 좌시않겠다”

-김회재 의원, “공소장에 국회의원 20명 명시도 못한 검찰”
“악의적 낙인찍기, 언론플레이 의구심”
“내가 돈 봉투 받았다면 국회의원 사퇴하겠다”

김회재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남 여수시을)은 2021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 관련 검찰의 수사가 정치적 의도로 야당을 탄압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김회재 의원은 23일 기자회견문에서 “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 관련 어제 윤관석 국회의원을 정당법 위반혐의로 기소했지만, 돈 봉투 살포 혐의와 최대 20명이라는 돈 봉투를 받은 의원 명단도 적시되지 않았다” 며 “윤석열 정부가 정적 제거와 야당 탄압에만 혈안이 되어 선택적 정의와 편향된 법치로 정의와 공정, 상식의 법치주의를 스스로 무너뜨린 것”이라며 비판했다.

 

김 의원은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6월 국회 본회의장에서 윤관석・이성만 의원 체포동의 요청을 하며 ‘돈 봉투를 받은 20명의 국회의원이 본회의장에 앉아 있다’고 말한 사실을 적시하며 “장관이 국민들 앞에서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들을 범죄자 취급했다”고 비난했다.

 

그 후 지난 4일 윤관석 의원의 영장심사 이후 5일 모 언론에서 돈 봉투를 받았다는 10명의 국회의원 이름이 보도되고, 7일에는 문화일보에서 김회재 의원을 포함한 5명의 의원이 돈 봉투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김회재 의원은 기사를 작성한 문화일보 기자들에 대해 정보통신망법과 형법상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또한, 검찰은 민주당 국회의원들에 의해 피의사실 공표죄로 공수처에 고발된 상황이다.

 

김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장에서 “그 누구로부터 돈 봉투를 받은 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단호하게 말한다”며 “돈 봉투를 받았다면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검찰이 증거가 없자, 의원 명단만 흘리며 악의적인 낙인찍기 언론플레이에 나서며 지지부진한 시간 끌기를 반복하고 있다”고 말하며 신속한 진상규명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그는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명예훼손과 피의사실 공표에 대해 책임 있는 자들에 대한 엄정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하며 “검찰이 정치검찰의 낡은 옷을 벗고 ‘국민의 검찰’로 돌아오라, 검찰 공화국의 유혹에서 벗어나 법치주의와 인권을 지키는 검찰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속옷 저항’ 윤석열 구치소 CCTV 영상 온라인 유출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에서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CCTV 영상 일부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2일 온라인상에서 퍼진 19초짜리 구치소 영상에는 윤 전 대통령이 자리에 앉아 특검을 향해 고개를 돌리며 무언가 말하는 장면과 난감해하는 집행관들의 모습도 그대로 포착됐다. 앞서 여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지난 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현장 검증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 대한 CCTV 등 영상 기록을 열람한 바 있다.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CCTV 영상 열람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누워 집행을 거부하면서 ‘나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며 “그러면서 변호인을 만나겠다고 하는 등 집행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은 열람 현장에 참석했던 국회 관계자가 영상을 촬영해 유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지만, 국회 법사위원 쪽은 영상 촬영 및 유출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법무부 측은 영상 유출 경위 파악에 나섰고,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법적 대응 여부를 논의 중이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