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명태균 게이트 진상조사단은 25일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 씨의 육성이 담긴 전화 통화 녹취록을 공개했다.
민주당 명태균 게이트 진상조사단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사단은 실제로 이날 회견장에서 ‘주간지 시사인’이 보도한 통화 녹음파일을 재생했다.
녹음파일에 따르면 명 씨가 “당선인의 뜻이라며 윤상현을 압박한 것 같더라”라고 하자 김 여사는 “하여튼 너무 걱정 마세요. 잘될 것”이라며 “잘될 거니까 지켜보시죠”라고 답했다. 이에 명 씨는 “고맙습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내일 같이 뵙겠습니다”라는 말에 김 여사도 “네 선생님”이라고 했다.
또, 김 여사는 “당선인이 지금 전화했는데, 당선인 이름 팔지 말고 그냥 밀라고 했다”며 “권성동하고 윤한홍이 반대하잖아요. 그렇죠”라는 내용도 담겨있다.
해당 녹음을 두고 명태균 게이트 조사단은 김 여사가 2022년 6월 재·보궐선거에서 김 전 의원에게 공천을 주기 위해 노력한 정황이 담긴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상현 의원은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다.
조사단은 “반대하는 세력이 있었음에도 취임식을 앞둔 당선인이 본인의 권력을 앞세워 공천을 밀어붙인 배경은 무엇인지, 윤석열에게 명태균과 김영선이 어떤 도움을 줬길래 국회의원 자리로 보답을 받은 것인지 당장 수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진보당 정혜경 원내대변인도 이어진 브리핑에서 김건희-명태균 통화녹취공개를 언급하며 “이거 덮으려 비상계엄 했는가”라면서 “김건희와 명태균 사이의 통화 육성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빼도박도 못할 명백한 불법 공천개입 증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혜경 대변인은 “윤석열 취임식 전날이자 국힘 보궐선거 공천발표 전날인 2022년 5월 9일, 김 여사는 ‘윤 당선인이 김영선을 그냥 밀어줘라고 했다’며 명태균에게 알려준다. 명 씨에게 ‘당선인 이름 팔지말라’고 덧붙이고, ‘잘될 것’이라 안심시켜준다”며 “공당인 국민의힘 공천은 이런 식으로 윤석열 부부의 전횡에 멋대로 좌우됐다”고 비판했다.
정 대변인은 “이번 일은 ‘비선 당무·공천개입’에 ‘비상계엄 핵심동기’까지 연결된 특대형 사건”이라면서 “‘명태균 특검법’ 27일 본회의 처리하고, 즉시 공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