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2 (토)

  •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1.7℃
  • 맑음서울 -0.8℃
  • 맑음대전 0.1℃
  • 맑음대구 0.5℃
  • 맑음울산 0.8℃
  • 맑음광주 1.2℃
  • 맑음부산 1.4℃
  • 구름많음고창 0.0℃
  • 제주 5.4℃
  • 맑음강화 -2.3℃
  • 맑음보은 -0.6℃
  • 맑음금산 -0.8℃
  • 구름많음강진군 2.3℃
  • 맑음경주시 1.5℃
  • 맑음거제 2.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AI 디지털교과서 해야 돼?"... 학부모 68% '디지털 과몰입' 걱정

조사대상 1180명 학부모, AIDT 도입 질문 9개중 8개항목 ‘반대’ 더 높아
정을호 의원 "정부 밀어붙이지만 학부모들은 AIDT 효과 의심하고 있다"

 

'AI 디지털교과서'(AIDT)에 대해 정부가 직접 조사한 최초 설문조사에서 학부모들은 디지털 과몰입 등의 부작용을 더 우려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교육위원회 정을호 국회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AIDT에 관한 1,180명의 학부모 정책 모니터단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AIDT 도입에 따른 교육 효과와 관련된 9개 질문 중 단 하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부정적인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부정적인 답변이 가장 많았던 항목은 '디지털 기기 과의존 문제가 발생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68.3%의 학부모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로 답변하며, 자녀들의 디지털 기기 의존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교사-학생 간 소통에 도움 될 것이가'라는 질문에 56%가 부정적으로 응답했으며, '교사들이 학생 개별 지도에 도움이 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도 53.3%가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로 답변했다. 이러한 결과는 AIDT가 교사와 학생 사이의 관계를 약화시킬 것이고, 맞춤형 개별 지도를 어렵게 할 것이라는 학부모들의 걱정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유일하게 긍정적인 답변이 우세했던 항목은 'AIDT가 학교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인가?'였다. 그러나 이 문항조차 긍정 응답률은 38.4%에 불과했고, 부정 응답(35.7%)과의 차이는 단 2.7%p로 크지 않았다.

 

이에 정을호 의원은 “교육부가 AIDT 도입 부정 의견이 많고, 국회 반대에도 불구하고 도입을 강행하고 있는 가운데, 학부모들 역시 부작용을 걱정하며 정부의 AIDT 도입에 동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 의원은 “정부의 AIDT 도입에 대해 국회, 학부모들의 도입 반대 의견이 우세한 만큼, 더 이상 무책임한 정책 강행을 중단하고 우리 학생들을 위한 고민을 함께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교육부가 2024년 학부모 정책 모니터단(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 1,180명을 대상으로 2025년 1월 16일에서 2월 4일까지 20일간 실시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시민사회단체 “동물권행동 카라 노동자들의 노동기본권 보장하라”
카라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가 21일 “현 전진경 대표와 이사진의 독단적 운영으로 단체의 투명성과 민주성이 훼손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카라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노동위원회,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 서울본부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권행동 카라 노동자들의 정당한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노조탄압 중단 및 정상화”를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해 카라 정상화 대책위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는 “동물권행동 카라는 비영리 시민단체로서 지난 20여 년간 동물권 운동에 당당히 앞장서 왔으나. 현 전진경 대표와 이사진의 독단적 운영으로 단체의 투명성과 민주성이 훼손되기 시작했다”며 “후원회원과 활동가들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창구가 모두 사라지고, 비정규 직이 급증했으며, 퇴사자가 60여 명에 이르며 구조 동물의 복지까지 저해되자 단체를 살리려는 활동가들이 모여 노조를 결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노조가 결성되자 이사진은 문제 해결과 화합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2024년 총회에서 ‘셀프 연임을 단행했고, 노조 핵심 임원에 대한 부당징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