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자가 경제부총리이자, 대통령 대행을 했으니 나라가 이 모양이지."
정부가 경제 위기에 대응해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미국 국채 보유 논란이 커지고 있어 주목된다. 경제 수장이 '원화가치 하락'을 기대하는 투자를 벌인 상황이다.
지난 30일 최 부총리는 긴급현안 관련 경제관계장관간담회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추진하겠다며 국회 통과를 위한 여야 협조를 요청한 바 있다.
최근 관보에 게재된 '공직자 정기 재산 변동 사항'에서 최 부총리가 지난해 1억9712만원 상당의 2050년 만기 미국 국채를 매입한 게 확인됐다. 같은 날 재산이 공개된 기재부 고위공직자 18명 중 미국 국채 보유자는 최 부총리가 유일하다.
미국 국채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가치 하락)할수록 이득이다. 최 부총리의 채권 매입행태는 정부의 경제수장이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기를 바라는 방식의 투자를 일삼은 셈이다. 최 부총리 바람대로 31일 원/달러 환율은 주간 종가 1,472.9원을 기록하며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대변인은 "한국 경제가 망가질수록 최상목 본인은 이득을 보는 '경제 파탄 베팅'인 셈"이라며 "경제 위기로 국민은 숨통이 막히고 있는데, 경제사령탑 최상목은 그 고통을 돈벌이 수단으로 삼았느냐? 공직윤리조차 갖추지 못한 한심한 사람이 대한민국 경제수장"이라고 비판했다.
진보당 홍성규 수석대변인은 "내란사태 이후 급등한 환율 관련해 '강력하게 시장안정조치로 대응하겠다'던 그의 공언은 파렴치한 거짓말이었다. 원화를 팔아 달러에 투자해 오히려 환율 상승에 일조한 셈 아나냐"고 주장했다.
최 부총리 측은 "미국채를 구매하는 것 자체가 공직자윤리법이나 다른 규정상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민주당 강유정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나라 팔아 재테크하는 최상목"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