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8.5℃
  • 맑음강릉 8.3℃
  • 맑음서울 10.7℃
  • 맑음대전 9.3℃
  • 맑음대구 10.5℃
  • 맑음울산 9.5℃
  • 맑음광주 9.4℃
  • 맑음부산 12.3℃
  • 맑음고창 4.0℃
  • 맑음제주 10.3℃
  • 맑음강화 5.8℃
  • 맑음보은 5.7℃
  • 맑음금산 6.5℃
  • 맑음강진군 7.5℃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12.3℃
기상청 제공

경제


발병보다 더 큰 고액의 치료비 부담, 암보험으로 걱정 덜자

현재 우리나라는 암 유병자 수가 매해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1999년부터 2012년까지 암을 경험한 사람의 수는 총 1,234,879명이라고 한다.


이는 전체인구 41명당 1명꼴로 암 치료를 받는 중이거나 치료 후 생존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중 65세 이상 연령층은 12명당 1명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불규칙한 식생활, 음주, 흡연, 스트레스, 평균수명 등을 꼽을 수 있는데 평균수명까지 생존했을 경우 3~4명 중 1명은 암에 걸린다고 한다.


그런데 요즘은 암 발병에 대한 두려움보다 암 치료로 들어가는 치료비용이 더 큰 고통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암 종류에 따라 치료비용이 천차만별로 한 번의 치료로 완치되는 것이 아니며 꾸준한 추적관찰과 관리가 병행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암 치료 시 발생되는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암 보험을 준비하려는 추세인데 판매회사에 따라 보험료나 보장이 달라져 잘 알아보고 준비해야 한다. 먼저 암 보험의 암 진단금을 꼼꼼히 비교해야 한다. 암 진단금의 경우 대체로 검사비용 및 치료비용으로 사용되는데 암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보장금액을 줄이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리고 치료기간이 긴만큼 경제활동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아 생활비나 요양자금에 대한 경제적 부담도 같이 올 수 있는데 암 진단금이 충분할 경우 이로 사용될 수 있어 가능한 암 보험 진단금의 보장금액을 크게 가입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암 발생 후에는 암 보험을 가입하고 싶어도 어렵고 암의 경우 발견이 쉽지 않아 90일의 면책기간과 1년~2년의 감액기간을 정해놓고 있어 건강할 때 준비하길 권장한다. 암 유병자수를 봐도 연령이 높아질수록 암에 대한 위험률이 높아진다. 때문에 암 보험을 가입 할 때 보장기간을 길게 선택해야 하며 젊을 때 준비해야 한다.


아울러 시간이 지날수록 보험료가 변동되는 갱신형 보다는 비갱신형으로 암 보험을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지만 가입자의 나이나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비교가입이 중요하다. 이에 최근 암 보험 비교견적사이트(www.insu-land.net)를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곳에서는 다양한 회사의 여러 상품을 알아볼 수 있어 나에게 유리한 보장들로 준비할 수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악성 유튜버 횡포 막는다"...이종배 ‘사이버렉카 처벌법’ 대표발의
이종배 의원(충북 충주, 4 선)은 10일, 정보통신망을 통한 명예훼손 및 사생활 침해에 대한 피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조치 기간을 연장하고,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의 ‘사이버렉카 처벌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법은 정보통신망을 통한 명예훼손 행위에 대해, 사실 유포 시 3 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허위 사실 유포 시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각각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피해자는 플랫폼 운영자(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게시물 삭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을 받은 사업자는 최대 30일간 해당 정보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임시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유튜브 등 소셜 플랫폼에서 타인의 사생활이나 약점을 폭로하는 자극적인 콘텐츠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짧은 시간 안에 빠르게 확산되어 피해 규모가 급격히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피해자가 게시물 삭제를 요청하더라도 실제 조치까지 시간이 지연되면서, 노출된 정보로 인한 피해가 확산 및 장기화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이 의원은 임시조치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