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맑음동두천 20.6℃
  • 맑음강릉 23.7℃
  • 맑음서울 23.7℃
  • 구름많음대전 23.5℃
  • 구름많음대구 24.4℃
  • 구름많음울산 20.3℃
  • 흐림광주 23.0℃
  • 흐림부산 21.8℃
  • 흐림고창 22.1℃
  • 흐림제주 22.9℃
  • 맑음강화 18.6℃
  • 구름조금보은 19.3℃
  • 구름많음금산 23.5℃
  • 흐림강진군 22.4℃
  • 구름조금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금융


은행들 ‘이자장사’ 참 잘했네... 이자 순이익만 34조

2010년 이후 금리상승기 중 최대
총이익 내 이자이익 비중도 93%

 

 

금리가 오르고, 기업 대출은 불어나고, 예대(대출-예금) 금리차도 커지면서 은행권의 한해 이자순이익만 34조를 넘어섰다.

 

한은은 이번 은행이자이익 호조의 주요 배경으로 기업 대출 증가가 꼽았다. 이번 금리 상승기(2021년 이후 현재까지) 일반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52조5천억원 급증한 반면, 같은 기간 가계대출은 2조원 줄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영업자금 수요가 늘고, 고금리로 채권시장이 위축되면서 은행 대출 수요가 불어났기 때문"이라며 "기업 대출의 위험조정수익률(이자이익률에서 대손율을 뺀 값)도 2022년 이후 가계대출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면서 은행 수익이 크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또 “국내은행의 경우 대출 내 변동금리 비중이 큰 반면, 예금은 요구불예금 등 저원가성 예금 비중이 커 금리 상승 시 예대금리차가 확대된다"며 "앞으로 대출 부실에 따른 대손 비용 증가, 금리 하락에 따른 예대차익 축소 등으로 은행의 수익성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