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은 윤 대통령이 ‘다 잡아들여 싹 정리하라’고 지시했다며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증언했다.
홍장원 전 차장은 22일 (어제)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1차 청문회에 출석해 간첩단 사건인 줄 알았다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통화한 뒤에야 정치인 체포지시라는 것을 알았다고 밝혔다.
홍 전 차장은 계엄 당일 저녁 8시 22분쯤 윤 대통령으로부터 “한두 시간 후에 중요하게 전달할 사항이 있는데 대기하라는 취지의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어 10시 53분께 윤 대통령에게 “이번에 다 잡아들여서 싹 다 정리하라는 전화를 받았는데 그때 목적어가 없어서 누구를 그렇게 해야 하는지 몰랐다”라고 말했다.
그는 “국정원이 국가 핵심 정보기관인데 비상 상황이라는 부분에서 정보 판단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어떻게 비상계엄이 발효됐는가”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이후 국정원 청사에서 대기한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TV를 통해 확인했다고 했다.
홍 전 차장은 이후 여 전 사령관과 통화를 통해 정치인 체포 지시를 정확히 알기 전까지는 “국내에 장기 암약하던 간첩단 사건을 적발했나보다, 그래서 긴급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또 “방첩사를 지원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다”면서 “방첩사에서 한동훈과 이재명을 잡으러 다닌다고 말하니 (조태용 국정원장이) ‘내일 아침에 얘기하자’고 말했을 뿐” 관련 보고 받기를 “거부했다”고 전했다.
그는 정치인 체포 지시를 이행하지 않은 배경에 대해 “대통령을 좋아했다. 시키는 것 다 하고 싶었다. 그런데 그 명단을 보니까 그거는 안 되겠더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