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마을금고가 지난해 1조7,000억원에 가까운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부실 금고가 발생하더라도 합병을 통해 예금과 출자금을 안전하게 보호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이번 대규모 적자는 지방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화와 그로 인한 대손충당금 확대의 영향이 크다. 일부 부실 새마을금고는 합병 대상에 오르고도 합병 진행이 장기화되면서 파산 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국 1276개 지역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조7000억원에 달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1조2000억원 손실을 낸 뒤 하반기에 5000억원가량 추가 손실이 발생한 것이다.
지역 금고들이 대거 적자는 대손충당금 적립에서 비롯되는데, 금융사는 대출 부실을 대비해 적립한 대손충당금은 재무제표상 비용으로 인식된다. 금융사의 대손충당금 적립이 늘어날수록 이익 규모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지난해 1조7000억 규모의 손실은 확정 금액은 아니지만 부실 우려에 대한 우려는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며서 "해당 금고는 해산이 아닌 합병 방식을 통해 예적금을 포함한 출자금 전액 새로운 금고로 이관되기 때문에 5000만원 초과 예금보유자도 손실 발생가능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27일에는 충북지역의 새마을금고 이사장 후보가 오는 3월 5일 치러지는 '제1회 전국 동시 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선거인에게 돈봉투를 건넨 혐의로 공공단체로부터 고발됐다. A씨는 이달 자신의 당선을 목적으로 금고 회원에게 현금 50만원이 든 돈봉투를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