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플랫폼종사자 규모가 전년 대비 11.1% 늘어난 88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월 평균 수입은 145만2000원으로 전년 대비 1만2000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플랫폼종사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플랫폼 종사자는 스마트폰 앱이나 웹사이트 등 온라인 플랫폼의 중개나 알선으로 일감을 받고 그를 통해 수입을 얻는 이들을 가리킨다. 지난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일한 종사자 규모는 88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11.1% 늘었다. 2022년(79만5000명)에 2021년(66만1000명) 대비 20.3% 늘어난 것과 비교해 증가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디지털 기술 발달 등 산업변화와 더불어 자유롭게 일하는 방식을 선호하면서 플랫폼 종사자 수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플랫폼 일자리를 시작한 동기로 '더 많은 수입'(36.1%), '일하는 시간·날짜를 선택할 수 있어서'(20.9%), '직장·조직 생활이 안 맞아서'(10.2%), '가사·학업·육아 등 병행을 위해'(7.5%) 등을 꼽았다. 주요 직종별로 살펴보면 정보기술(IT) 서비스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이 1년 전 같은 달보다 14% 증가하며 10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110억달러를 돌파해 4개월 연속 50% 이상 증가하며 수출을 견인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7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한 574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역대 7월 수출 중 2위 기록으로 10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달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11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무선통신기기 등 IT 전 품목의 수출은 5개월 연속, 합산 수출액은 156억달러로 9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112억달러(50.4%)를 기록하면서 9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디스플레이(17억달러·2.4%)는 12개월, 컴퓨터(12억달러·61.6%)는 7개월, 무선통신기기(15억달러·53.6%)는 5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했다. 자동차 수출은 주요 업계의 하계휴가 영향으로 인해 전년대비 9.1% 감소한 54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자동차 부품은 9.5% 증가한 22억 달러를 수출하면서 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일반기계 수출은 역대 7
올 상반기 승용차 수출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관세청은 31일 올 상반기 승용차 수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4.9% 증가한 336억달러로 역대 최대 반기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 수입은 61억달러로 27.0% 하락했다. 상반기 수출대수는 145만대, 수입대수는 15만대다. 상반기 주요 수출 대상국(금액기준)은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미국(28.9%), 캐나다(8.6%), 카자흐스탄(6.6%), 튀르키예(124.2%), 이라크(78.5%) 등은 증가하고, 영국(-10.7%), 독일(-55.0%) 등은 감소했다. 차종별로는 하이브리드차와 중대형 휘발유 차량 중심으로 수출이 늘었다. 특히 상반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1년 전보다 수출액이 31.9% 증가했다. 2분기 승용차(중고차 제외) 수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6.8% 증가한 178억달러다.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2022년 1분기 이후 9분기 연속 수출 증가세를 이어갔다. 2분기 승용차 수출대수는 77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 증가했다. 수출 대상국은 금액 기준으로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순이다. 특히 미국(33.2%), 사우
하반기 조선, 반도체 업계에서 일자리가 지난해보다 늘어나지만, 건설업과 섬유업 일자리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이같은 내용의 '2024년 하반기 주요 업종의 일자리 전망'을 발표했다. 주요 업종들 가운데 하반기 일자리가 전년 대비 비교적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조선과 반도체다. 조선업은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소폭 증가하는 가운데, 친환경 선박 수요와 수출 증가로 인해 고용이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7000명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조선업계는 올해 상반기 글로벌 고부가가치 선박의 37.4%를 수주해 우위를 지속하고 있고, 2024년 선박류 수출액이 약 24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3%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고용도 호황일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도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으로 고부가 메모리 시장의 호황이 고용 증가를 이끌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 대비 약 36.9% 늘어난 1350억달러 내외가 예상된다. 반도체 설비투자는 업황 개선 효과로 1.9% 증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반기 고용 인원도 3000명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기계, 전자, 철강, 자동차, 디스플레
올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전 분기 대비 0.2% 역성장했다. 1분기 깜짝 성장의 배경이었던 내수가 부진한 영향이 컸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가 전분기 대비 0.2% 감소했다. 전년 동기보다는 2.3% 성장했다. 지난 2022년 4분기 –0.5%를 기록한 후 6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이며 가장 낮은 분기 성장률이다. 전분기가 높은 성장세를 보인 데 따른 역(逆)기저효과도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상반기 전체로는 전년동기대비 2.8% 성장해 2022년 상반기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은은 "올해 우리 경제는 양호한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물가가 안정되면 내수도 완만히 회복될 것"이라며 "연간으로는 5월 전망(2.5%)에 대체로 부합하는 성장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교육 등 서비스 소비가 소폭 증가했으나 승용차, 의류 등 재화소비가 부진해 0.2% 감소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를 중심으로 0.7%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등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1.1%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가 늘었으나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이 571억 달러(약 79조1863억원)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지속했다. 화장품과 반도체 분야의 수출 증대가 성장세를 견인했다. 24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발표한 '2024년도 상반기 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1~6월 중소기업 수출액은 571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4.4% 증가했다. 중소기업 수출은 작년 4분기부터 플러스로 전환돼 올해 2분기까지 증가를 기록하며 3분기 연속 수출 플러스를 기록했다. 수출에 참여하는 중소기업 수도 7만 7078개사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949개사↑)하며 역대 상반기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 10대 수출품목 중 8개 품목 실적이 개선됐다. 특히 중소기업 1위 수출품목인 화장품은 전년대비 30.8% 증가하며 상반기 최고 수출액 33억달러를 경신했다. 기존 주력시장이었던 미국, 중국과 더불어 신흥시장으로 수출국을 다변화한 것이 상반기 최대 실적으로 이어졌다. 반도체제조용장비는 19억달러로 전년대비 14.7% 상승해 상반기 최고 수출액을 달성했다. 반도체 시장 업황 개선이 주요 증가요인으로 분석된다. 이 밖에 대미 수출호조에 따라 전자응용기기도 13억달러로 전
중국의 저가 수출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국내 기업들이 수출 포트폴리오 전환 등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3일 발간한 '중국 저가 수출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달러 기준 수출단가는 2023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16개월 연속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8월에는 중국의 수출단가가 전년동월비 13.9% 하락하며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래 월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1~4월에도 수출단가가 전년 동기 대비 10.2% 하락하면서 주요국 대비 하락폭이 컸다. 하지만 같은 기간 수출물량은 8.7% 늘어나 중국의 저가 수출 밀어내기가 더욱 확산되는 모습이다. 해당 기간 주요국 수출단가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중국 -10.2% △미국 -1.7% △일본 -4.3% △신흥국 -4.8 △한국 -0.1 등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산업 생산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년 동월 대비 6% 내외의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위기로 인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지난 5월 기준 중국 사
7월에도 반도체 수출이 늘면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은 7월 수출액이 371억7100만 달러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수입은 372억2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은 18.8%(59억 달러), 수입은 14.2%(46억 3000만 달러) 각각 증가했다. 조업일 수를 고려한 일 평균 수출액은 11.6% 늘어 증가폭이 다소 작았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16.5일로 지난해보다 하루 더 많았다. 7월 무역수지는 5000만 달러 적자를, 연간 수지는 230억 달러 흑자를 기록 중이다. 우리나라 상반기 수출은 3348억 달러로 전년 대비 9.0% 증가했다. 역대 2번째로 높은 실적으로 15대 품목 중 9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면서 우리 수출의 우상향 기조를 견인했다. 품목별로 보면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액이 작년보다 57.5% 늘었다. 승용차(1.8%)·석유제품(28.4%)·철강제품(8.8%) 등도 증가했다. 반면, 무선통신기기와 선박 등은 1.3%, 49.1% 각각 감소했다. 국가별 수출은 중국이 76억5400만 달러(20.4%), 미국 65억3800만 달러(13.4%), 유럽연합 37억900만 달러(3.3%), 베트남 33억4800만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상향 조정했다. 17일 ADB는 '2024년 7월 아시아 경제전망’을 통해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 냈던 연간전망보다 0.3%포인트 높은 2.5%로 제시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증가세를 반영해 종전보다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했다. 이는 한국은행 전망치와 같고 정부·한국개발연구원(KDI)의 2.6%보다는 0.1%p 낮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전날 발표한 7월 세계경제전망(WEO)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5%로 전망했다. 내년 한국 성장률은 2.3%, 한국 물가 상승률도 올해 2.5%, 내년 2.0%로 4월 전망을 각각 유지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성장률 전망치는 당초 전망에서 0.1%p 상향해 5.0%로 제시했다. 견조한 내수, 전자제품 등 수출 호조가 아태 지역 성장에 기여했다는 것이 ADB의 분석이다. 다만, ADB는 미국 등 주요국의 정치적 불확실성, 지정학적 긴장 심화, 중국 부동산시장 등 내수침체 지속 등을 주요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했다. 아울러 아시아·태평양 지역 물가상승률은 통화긴축 영향 지속, 국제 식료품 가격 상승 둔화
- 북미지역 26%↑·하이브리드차 26%↑…전체 수출 견인 - 내수 판매는 부진… 전년 '역기저 효과' 올해 상반기 자동차 수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3.8% 증가한 370억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고물가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북미지역 수출 호조와 친환경 하이브리드차 수요 확대 등이 수출 실적을 견인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상반기 자동차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370억9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6월 수출 실적은 조업일 감소에도 불구하고 작년 수준인 62억 달러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액은 설 연휴가 있던 지난 2월을 제외하면 작년 11월부터 월 60억 달러 이상의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지역별 수출을 보면 북미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217억 달러로 전체 수출실적을 이끌었다. 대중동 수출은 4억7천만달러로 5.3% 증가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한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반면, 미국을 제외한 지역은 모두 작년 상반기보다 수출이 감소했다. 유럽은 최근 독일과 북유럽 지역의 전기차 판매 감소 영향으로 전년 6월 대비 22.6% 감소한 66억9200만달러에 그쳤다. 아시아 수출은
- 수출 210.5억달러·수입 108.7억달러·무역수지 101.8억달러 흑자 반도체 수출 훈풍에 상반기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ICT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이상 늘었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상반기 ICT 수출이 전년대비 28.2% 증가한 1088억5000만 달러로 상반기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금액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품목별로 반도체는 전년동월대비 49.4% 오른 134억4000만달러를 나타냈다. 인공지능(AI) 시장 성장과 IT기기 시장 회복 등으로 반도체 수요가 확대된 결과다. 특히 메모리는 고정 거래가격 상승 및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품목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반도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디스플레이와 컴퓨터·주변기기는 각각 14.6%, 35.6% 증가했다. 휴대폰은 2.8%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중국 37.3%, 베트남 21.7%, 미국 19.2%, 유럽연합 8.2% 등 으로의 수출액이 증가했고, 일본은 9.3% 감소했다. 6월 ICT 수입은 108억7000만달러로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114억5000만 달러) 대비 5.1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우리나라 수출이 반도체와 자동차, 석유제품 등의 호조세에 힘 입어 전년동기 대비 3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총 수출은 전년 동기보다 33.8% 늘어난 177억 달러로 나타났다. 수출이 가파른 증가세를 기록한 것은 조업일수가 늘어난 영향이 크다. 올해 7월 1~10일 사이 조업일수는 8.5일로 지난해 7.0일과 비교해 1.5일이 많았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0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기(18억9000만달러) 대비 10.2% 증가했다. 주요 품목 별로 보면 전년동기 대비로 반도체(85.7%), 승용차(9.8%), 석유제품(40.5%) 등은 증가했으나 선박(△37.5%) 등은 감소했다. 이중 반도체 수출 비중은 19.1%로 5.3%p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29.1%), 미국(26.4%), 유럽연합(EU·26.2%) 등으로의 수출이 늘었다. 최대교역국인 대중(對中) 수출액이 35억4700만 달러로 대미(對美) 수출액(32억2300만 달러)을 압도했다. 이달 10일까지 수입액은 197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6.7% 증가했다. 수입이 증가한 주요 품목은 반도체(35.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유가 상승 등에 따라 둔화 흐름이 일시 주춤할 수는 있겠으나 전반적인 디스인플레이션 추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9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물가는 통화정책 긴축 기조 지속 등의 영향으로 근원물가 상승률이 2%대 초반에서 안정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대 중반으로 낮아지는 등 긍정적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 경제에 대해 "수출 중심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하반기 중 내수도 점차 개선되면서 올해 중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외환 부문의 최근 흐름에 대해서는 경계심을 표했다. 이 총재는 “국내 금융시스템이 대체로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으나 부동산 PF 시장 부진, 취약부문의 채무상환 부담 누증으로 연체율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 주요국의 정치적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외환시장의 변동성은 높아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선 "통화정책을 어떻게 운용해 나갈지에 대해서는 이틀 후(11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가 예정된 관계로 자세히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금융통화위원회가 최근 디스인플레이션 흐름과 성장·금융안정
세계에서 유통되는 한국기업 제품을 베낀 위조상품 규모가 97억달러(11조1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의 1.5%에 달하는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불법무역과 한국경제(Illicit trade and the Korean economy)’ 보고서를 3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이 세계적으로 혁신적인 국가이지만, 글로벌 가치사슬에 견고하게 통합돼 다양한 부문에서 위조상품에 구조적으로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OECD는 한국기업의 위조상품이 유통되면, 소비자들은 정품 대신 위조상품을 구입하게 되고 이는 결국 한국기업의 수출 등 국내외 매출, 제조업 일자리, 정부 세수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분석했다. OECD가 분석한 한국기업의 지재권을 침해하는 위조상품 규모는 2021년에 전 세계적으로 약 97억 달러(111조1000억원),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의 1.5%로 분석됐다. 지난 2020년과 2021년에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품목은 전자제품(51%), 섬유·의류(20%), 화장품(15%), 잡화(6%), 장난감게임(5%) 등 순이다. 또한, 이들 위조상품이 유래된 지역은 홍콩(69%)과 중국(17%)이
올 상반기 농식품(K-Food) 및 전·후방산업(K-Food+) 수출액이 누적 62억1000만 달러를 기록해 호조세를 이어갔다. 라면을 비롯한 쌀가공식품·과자·음료·김치 등이 K-푸드 플러스(K-Food+)의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상반기 농식품 및 전‧후방산업 수출 누적액이 지난해보다 5.2% 증가한 62억1천만 달러를 달성했다고 3일 밝혔다. 특히 농식품은 47억7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세를 보였다. K-푸드 플러스는 농식품에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농기자재, 반려동물음식(펫푸드), 동물용의약품 등 전‧후방산업을 포함한 것을 말한다. 농식품 상위 수출대상국은 미국, 중국, 일본으로 나타났다. 대미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7억3680만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은 7억200만달러로 3.1% 증가했으며, 일본은 엔저 등의 영향으로 7% 감소한 6억7100만달러 수출되며 3위 시장으로 비중이 낮아졌다. 이외에도 유럽, 중남미, 중동, 오세아니아 등에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면서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상반기 수출 상위 품목은 라면, 쌀가공식품, 과자류 등으로 조사됐다.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