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지역에서 하루에 발생하고 하고 있는 생활폐기물은 대략 400여 t에 이르고 있다.
수원시민들이 일상생활을 해나가면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쓰레기 종량제 봉투'로 매일매일 생활쓰레기들을 버리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버려지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수원시는 생활쓰레기 수거에서부터 소각처리 등 전량 처리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수원시민들이 종량제 봉투에 버리지말고 분리수거를 통해 버려야 할 비닐과 캔, 플라스틱 등 재활용 폐기물도 마구 버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원시가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줄기기 위해 쓰레기종량제 봉투에 마구 버리는 재활용 폐기물 불법투기에 대해 강력 대처해 나간다.

수원시 자원회수시설로 반입되는 소각용 생활폐기물에 대한 표본검사(샘플링)등 특단의 조치에 들어간 것이다. 수원지역내에서 발생하는 전체 생활폐기물의 10% 감량 목표를 위해 시 차원에서 대처하고 있다.
지난 15일부터 시작한 소각용 생활폐기물 샘플링은 5월 29일까지 11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이번 표본검사에는 공직자, 주민 대표, 수원시자원회수시설 주민감시요원 등이 직접 참여하는데 44개 동에서 배출한 종량제봉투를 뜯어 내용물을 직접 점검해 나가고 있다.
종량제 봉투를 뜯어본결과 내용물의 30~40%가 비닐류 등 분리배출 시켜야할 생활폐기물들이 많이 섞여 있는것으로 확인됐다. 비닐류 쓰레기만 제대로 분리 배출해도 감량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이 예측되는 대목이다.
수원시 유정수 청소자원과장은 "배출된 생활폐기물에 재활용품을 섞어서 버리는 등 시민들이 반입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행정처분을 내리게 된다"고 강조했다.
기준 위반 사항이 적발되면 ‘1차 경고’를 하고, 1차 경고 후에도 반입 기준 부적합 사례가 적발되면 3일 이상 반입정지 처분을 내리는 등 강럭하게 대처해 나갈 방침이다.
수원시는 무단투기 전담 단속반을 운영해 비규격 봉투를 단속하고, 종량제봉투 내 재활용품 혼합 배출을 적발해 나가고 있으며 적발 시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한다.
수원시 권혁주 환경국장은 “‘시민 한 사람이 하루 쓰레기 30g 줄이기’를 목표로 다양한 쓰레기 감량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생활폐기물 샘플링이 올바른 폐기물 배출 문화가 정착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