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맑음동두천 10.4℃
  • 구름조금강릉 17.1℃
  • 박무서울 10.3℃
  • 맑음대전 10.7℃
  • 맑음대구 11.9℃
  • 구름많음울산 11.6℃
  • 맑음광주 12.1℃
  • 맑음부산 14.2℃
  • 맑음고창 14.7℃
  • 구름많음제주 22.0℃
  • 맑음강화 10.6℃
  • 구름조금보은 7.9℃
  • 맑음금산 9.4℃
  • 구름조금강진군 12.4℃
  • 구름많음경주시 12.0℃
  • 맑음거제 14.0℃
기상청 제공

기후


전세계 쓰레기 '5분의 1' 인도가 버린다

英 리즈대 교수팀, 국가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 조사
매년 5천200만t 발생…57% 무단 소각·43% 자연 그대로

 

전 세계에서 매년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2020년 기준)가 5천200만t에 이르고, 인도가 전체 배출량의 5분의 1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영국 리즈대 코스타스 벨리스 교수팀은 5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전 세계 5만여 개 도시의 폐기물 관리 시스템과 물질 흐름 데이터 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국가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을 조사했다고 밝혔다.

 

벨리스 교수팀에 따르면, 전체 플라스틱 쓰레기의 57%는 무단 소각되고 43%는 그대로 버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 주요 원인은 북반구에서는 ‘쓰레기 투기’가, 남반구에서는 ‘쓰레기가 수거되지 않는 점’이 지목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폐기물 관리 시스템 데이터,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물질 흐름 분석 등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이 어디로 어떻게 흘러가는지 파악해 전 세계 5만702개 도시의 플라스틱 쓰레기양을 정량화했다.

 

그 결과 전 세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은 연간 5천210만t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으며, 이 가운데 57%인 2천990만t은 가정이나 거리, 쓰레기장 등에서 환경 규제 없이 소각되고 43%는 자연에 그대로 버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은 저개발국이 많은 남아시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동남아시아에 집중됐다.

 

특히 인도는 세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의 18%인 930만t을 배출해 최대 배출국으로 꼽혔고, 다음은 나이지리아(350만t)와 인도네시아(340만t)였다.

 

과거 최악의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국으로 지목됐던 중국은 최근 수년간 쓰레기 수거·처리가 개선되면서 배출량이 280만t으로 감소, 4위 배출국에 자리했다.

 

이 외에 파키스탄(260만t), 방글라데시(170만t), 러시아(170만t), 브라질(140만t), 태국(100만t), 콩고민주공화국(100만t) 등도 주요 배출국이었다.

 

연구팀 관계자는 “플라스틱 오염의 성격, 범위, 원인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실현 가능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재협상으로 공정한 농업통상 길 찾아야”
전종덕 의원(진보당, 비례)과 국민과함께하는 농민의길, 진보당 농민당, 전국먹거리연대, 더불어민주당 이원택·문금주 의원이 15일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의실에서 트럼프 2.0시대 농업통상의 새로운 대안 모색 토론회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를 열었다. 전종덕 의원은 인사말에서 “우리 정부는 30년간 쌀 소비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며 농민들에게 재배면적 감축을 강요하지만, 정작 1995년에 WTO 의무 수입물량 기준이 되었던 1988~1990년 평균 국내 소비량이 절반 이상 줄었음을 이유로 통상국가들과 재협상을 요구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통상 환경과 현안이 비슷한 일본이 ‘WTO 회원국들과 쌀에 대한 재협상을 벌이겠다’고 한 것을 거론하며 농업은 상품 생산의 일부가 아니라 국민의 생존을 지키는 근본이며, 국가의 식량 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인 만큼 토론회를 통해 통상의 대안을 모색하고 식량주권을 지켜갈 공정한 농업통상의 길을 찾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발제는 ‘한국의 쌀 의무수입물량 감축 및 철폐를 위한 재협상 전략(AI 기반)’을 주제로 이해영 한신대 글로벌인재학부 교수가 맡았다. 이해영 교수는 “지난 세계화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