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정부와 기업이 한 몸이 돼 녹색산업 수주·수출에 노력한 결과 올해 22조 7000억 원의 수주·수출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국내기업이 녹색기술 고도화 및 해외 진출 시장 다변화 등을 통해 지난해에 20조 4,966억 원의 수주·수출 실적을 거둔 데 이어, 올해도 22조 7,000억 원의 녹색산업 수주·수출 실적을 거둔 것이다. 주요 수주 및 투자사업 성과로는 19개 사업에서 16조 4,937억 원*, 녹색제품 수출은 602개 기업에서 6조 1,693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번 성과는 환경부와 산업계가 원팀(One-Team)으로 협력해 노력한 결과다. 환경부는 협의체 참여기관(73개)과 밀접한 소통과 협력을 위해 1대1 전략회의를 수시로 개최해 사업(프로젝트)별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맞춤형 지원방안을 수립 후 상대국 정부 및 발주처에 제공하는 등 녹색산업 수주·수출 확대를 위해서 전방위적 노력을 펼쳤다.
아울러 환경부는 기업의 수주·수출 지원 활동을 위해 16개국 현지에 녹색산업 수주지원단을 26회 파견해 사업발굴, 협상, 수주 및 사후관리의 녹색 해외사업 전 과정을 산업계와 함께 추진했다.
이에 환경부는 17일 오후 임피리얼팰리스에서 녹색산업 협의체(73개 기관) 기업과 함께 성과보고회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 참여하는 정부 및 산업계 관계자들은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수주지원단 지속 파견 △전략회의 수시 개최 △재정지원 확대 △녹색 기반시설(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투자 등 내년도 지원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또한 이날 협의체 참여 기업은 현재 추진 중인 해외사업 사례를 발표하고 △사업성 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예산 확대 △복잡한 인허가 협의 지원 △사업종료 후 정부의 지속 관심 등을 건의한다.
정부에서는 기업이 해외사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예산 지원, 투자 확대, 정부 간 협상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국내기업의 녹색산업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미 세계 녹색산업 시장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라면서 “세계 녹색시장에서 지속적인 수주·수출이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재정적, 외교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