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새로 쓰는 중국혁명사 1911-1949’ 펴낸 나창주 전 의원, "중국 굴레 벗어나는 노력해야"

10일 출판기념회, 나창주 전 의원 10년의 역작

 

“중국의 전통적 국가체제를 무너뜨린 신해혁명은 서세동점의 시기에 불안감을 느낀 중국인들에 의해 어느 날 갑자기 툭 튀어나온 사건이 아니었다.”

 

노태우 정부 시절 북방정책을 설계할 당시 협상의 이론적 틀을 제시한 현대중국 정치전문가인 나창주 전 의원(85, 제13대 국회의원)이 내놓은 신작 ‘새로 쓰는 중국혁명사 1911-1949’의 첫 문장이다.

 

평생을 북방, 현대중국정치를 연구해온 나창주 전 의원이 중국 현대사를 다시 기록했다. ‘새로 쓰는 중국혁명사 1911-1949’는 나 전 의원이 수정작업만 3년, 총 10여년 간 심혈을 기울인 역작이다.

 

책은 현대중국사의 정화인 신해혁명부터 시작해 모택동에 의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될 때까지 급박하게 흘러온 내밀한 전개과정을 나 전 의원의 안목으로 꼼꼼히 살핀다.

 

아편전쟁의 충격으로 시작된 중국의 변혁은 태평천국의 난과 양무운동, 청일전쟁, 무술변법, 의화단운동, 러일전쟁을 거치면서 숱한 피바람을 몰고 왔다. 외세의 침탈로 중화주의가 붕괴되고 비참한 현실이 지속되자, 중국인들은 자력갱생을 통한 외세의 축출과 공화정에 대한 열망으로 결집해 신해혁명의 불꽃을 쏘아 올렸다.

 

수많은 혁명가들의 피땀으로 이룩한 중화민국은 군벌의 난립과 북벌전쟁, 중원대전, 국공내전, 중일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며 아수라장이 되고 말았다.

 

10일 출판기념회를 연 나창주 전 의원은 M이코노미뉴스와 만나 “중국 혁명의 정체를 알아야 중국의 내일을 읽을 수 있다”면서 “그 중에서도 일관성 있게 혁명을 진행한 모택동 혁명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나 전 의원은 이어 “중국 혁명사를 옛날 삼국지를 읽듯이 읽어 지금 중국의 현실이 아닌 뿌리를 알아야 한다”면서 “정체를 알아야 우리가 무엇을 얻고 버릴지 고민할 수 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현재 복잡한 한반도 정세에 대해 “역사적으로 우리를 오랫동안 속국으로 생각한 중국의 굴레를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이는 북한과 직접 연결돼 있어 우리가 10년만 견디고 노력한다면 우리가 원하는 통일이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나창주 전 의원은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및 부총장을 역임하고, ‘국공합작과 모택동의 전략’ ‘대한민국 북방정책’ 등 굵직한 논문들을 발표해 왔다. ‘대한민국 북방정책’은 2014년 대통령기록관에 소장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尹정부의 방첩사, 폐지된 민간사찰·정치개입 업무 자행 충격
작년 10월 윤석열 정권의 방첩사령부 드론작전사령관이 직접 작전을 지시했다고 주장한 박선원 의원이 1일 방첩사의 국회의원 사찰, 블랙리스트 작성 등 반헌법적인 행동을 추가 폭로했다. 이날 박선원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첩사령부의 '47개 폐지업무 복원' 문건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 공개했다. 먼저, 폐지된 업무들이 이름만 바뀌어 재도입됐다. 불시 보안점검, 병사 방첩 설문, 민간 간담회 등이 대표적이다. 다음으로 군의 민간인 사찰 및 권한 남용이 우려되는 업무들 역시 부활했다. 군 획득관계자 정기 관찰, 병사 대상 방첩설문, 군 안정 저해요인 진단 등이 예시로 꼽혔다. 마지막으로 북한동향 수집 및 분석하는 타 정부기관 소관 업무에 방첩사가 중복 개입하던 업무들도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업무들은 과거 기무사 해체의 직접적 원인이었던 정치공작, 민간인 사찰, 군내 사상검열 등과 직결된 문제였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8년 기무사를 해편하고 안보지원사령부를 창설했으며, 3 불 원칙(정치관여 금지, 민간사찰 금지, 권한 오남용 금지)과 함께 위와 같은 업무를 폐지한 바 있다. 윤정부의 과거로의 회귀는 여인형 사령관 취임 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