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제조업 기반인 공장이 많을수록 경제 수준뿐만 아니라 삶의 질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상위 30대 지역의 재정자립도는 하위 30대 지역의 2.8배, 지역 내 총생산(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은 13.4배 차이가 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전국 247개의 시군구 지방자치단체별 공장(건축면적 500㎡ 미만 미등록공장 제외) 수와 주요 경제지표를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2018년 2분기 기준 등록 공장 수 상위 30대 시군구의 평균 공장 수는 1,200개, 하위 30대 시군구의 평균 공장 수는 5,4개로, 222배 차이가 났다.
등록 공장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부천시(3,339개)였고, 김해시(2,476개), 인천 서구(1,870개), 안양시(1,835개) 순이었다.
항목별로 상위 30대 지역의 GRDP는 17조5,000억원으로, 하위 30대 지역 평균 GRDP(1조3,000억원) 대비 13.4배 높았고, 인구 수는 13.4배, 출생아 수 17.6배, 혼인 건수 17.8배 많았다.
평균 재정자립도는 상위 30대 시군구는 평균 40.1%로, 하위 30대 시군구 14.3%보다 2.8배 높았고, 평균 사회복지예산 비중은 각각 38.7%, 15.7%로 2.5배 차이가 났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2015년 5월 평택시에 반도체 공장 착공에 들어가 2017년 초 1기 반도체 공장을 완공, 4월부터 양산을 시작했는데, 공장 건설 전후 평택시의 재정자립도는 2014년 말 44.6%에서 49.0%로 9.9%p 상승했고, 취업자 수는 22만4,800명에서 24만9,000명(10.8% 증가), 인구증가율은 2.21%에서 3.14%로 42.1%p 증가했다.
군산의 경우 지난해 5월 GM공장이 폐쇄됐는데, 이후 군산의 재정자립도는 17.9%, 취업자 수 1.8%, 혼인 건수 40.7% 감소했고, 실업률은 무려 68.4%나 늘었다.
고용 측면에서 상위 30대 시군구 평균 상용직 비중은 77.8%로, 하위 30대 64.1%보다 13.7%p 높아 공장이 많은 지역의 직업 안정성이 높았고, 취업자 수도 상위 30대 지역이 하위 30대 지역에 비해 16.8배 많았다.
실업률은 공장 수와 비례해 상위 30대 시군구의 실업률은 4.0%, 하위 30대 시군구 실업률은 1.1%였고, 고용률은 공장 수와 반비례해 각각 59.7%, 70.3%였다.
한경연은 지역의 사업체가 많아지고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경제활동인구가 많아지면서 실업률이 자연스럽게 상승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장 수와 고용률이 반비례하는 것에 대해서는 농촌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장이 많은 도시에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하지 않은 학생, 취업준비생 등의 비율이 많기 때문이다.
공장 수와 주요 경제변수의 통계적 상관관계를 봐도 공장 수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뚜렷하게 나타난다.
관련해서 취업자 수 GRDP, 출생아 수, 혼인 건수, 재정자립도와 공장 수의 상관계수는 0.4를 넘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실업률 상관계수는 0.51, 고용률과의 상관계수는 –0.34였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장을 유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지방의 공장 유치를 위해 규제개혁과 과감한 유인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