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부 자동차 업계를 위한 관세 유예 조치를 고려 중이라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의 회담 중, 일시적 관세 면제 가능성과 관련된 질문에 “일부 자동차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많은 자동차 업체들이 캐나다나 멕시코에서 이뤄지던 부품 생산을 미국 내로 옮기고 있다”며 “하지만 그 과정에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3일부터 자동차 전반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엔진과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주요 핵심 부품에 대해서는 다음 달 3일부터 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될 예정이다.
한편, 애플 제품이나 스마트폰의 관세 적용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아직 입장을 바꾸지는 않았지만, 나는 유연한 사람”이라며 여지를 남겼다. 그는 이어 “가끔은 벽을 돌아가거나, 밑으로 파고들거나, 위를 넘어가야 할 때도 있다”며 융통성 있는 대응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의 팀 쿡 CEO와 최근 논의한 사실도 언급하면서 “나는 팀을 도왔고,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최근 공지를 통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일부 전자기기를 일시적으로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 발언이 해당 조치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 계획도 다시 언급하며 “머지않아 관련 조치가 발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자동차 관세처럼 품목별로 진행될 것”이라며 “관세가 높아질수록 기업들은 더 신속히 미국 내로 생산기지를 옮기게 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베트남 방문과 경제 협력 추진에 대해서는 “그들이 미국을 어떻게 견제할지 논의하는 자리였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유럽연합(EU)에 대해서도 “미국을 상대로 무역에서 이익을 보기 위해 만들어졌고, 방위비 분담도 제대로 하지 않는다”며 불만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