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일본을 제치고 세계 4위 경제 대국으로 올라섰다. 이 같은 결과는 국제통화기금(IMF)과 미국 경제분석국(BEA)의 최근 발표를 통해 확인됐으며, 캘리포니아주의 2024년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4조 1,000억 달러로 일본의 4조 200억 달러를 앞질렀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24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캘리포니아는 단순히 세계와 보조를 맞추는 데 그치지 않고, 오히려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고 있다”며 “우리의 번영은 사람에 대한 투자,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선순위, 혁신에 대한 신념에서 비롯된다”고 밝혔다.
특히 캘리포니아는 지난해 한 해 동안 6%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해, 미국 전체(5.3%)와 중국(2.6%), 독일(2.9%) 등 주요국을 웃도는 성과를 거뒀다. 뉴섬 주지사실은 “만약 캘리포니아가 하나의 국가였다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뉴섬 주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캘리포니아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현 연방정부의 무모한 관세 정책이 캘리포니아 경제를 뒤흔들고 있으며, 수천억 달러의 손실과 함께 시장 불안정, 기업과 소비자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지난주 뉴섬 주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소송을 제기했으며, 뉴욕주를 비롯한 11개 주가 공동 대응에 나섰다.
뉴섬은 소송 이유에 대해 이러한 관세가 "전국에서 가장 큰 경제, 제조, 농업 주인 캘리포니아에 즉각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이는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리고 비용을 부풀렸으며 주에 수십억 달러의 손해를 입혔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제정하기 위해 국제 경제 비상권한법을 발동한 것은 불법적이고 전례 없는 일이며, 이러한 광범위한 조치는 의회 승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