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6.0℃
  • 흐림강릉 11.7℃
  • 흐림서울 17.9℃
  • 대전 17.5℃
  • 대구 17.5℃
  • 울산 15.7℃
  • 흐림광주 18.5℃
  • 부산 16.1℃
  • 구름많음고창 17.3℃
  • 구름많음제주 18.2℃
  • 맑음강화 17.7℃
  • 흐림보은 16.8℃
  • 흐림금산 17.1℃
  • 구름많음강진군 17.1℃
  • 흐림경주시 17.7℃
  • 흐림거제 17.3℃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한국=관피아 사회’…관료출신 낙하산 수장이 ‘절반’

공대위, ‘알리오’서 38개 방만경영 관리 기관장 조사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방만경영 중점관리 대상 기관장 중 절반 가까이가 관료 출신 낙하산인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한국노총 공공부문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6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인 '알리오'를 통해 확인해보니 정부가 지정한 38개 방만경영 중점관리 대상 기관장 38명 가운데 18(47.4%)'관료 출신 낙하산', 일명 관피아(관료+마피아)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무역보험공사·한국수력원자력·한국중부발전·한국전력공사·한국광물자원공사 등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출신이, 한국거래소·한국투자공사·한국예탁결제원·한국조폐공사·예금보험공사 등에는 기획재정부 출신이 각각 수장으로 앉아있다.

 

부산항만공사(해양수산부), LH·철도시설공단(이상 국토교통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농림수산식품부), 그랜드코리아레저(문화체육관광부) 등에도 해당 부처 관료 출신이 차지하고 있었다상임감사 등 임원도 관료출신 낙하산이긴 마찬가지다.

 

상임감사는 36명 가운데 19(52.8%), 비상임이사는 238명 가운데 74(31.1%)이 관피아였다.(비상임이사의 경우 관례상 당연직인 주무부처 현직 관료는 제외상임이사는 121명 가운데 22(18.2%)이었다.

 

이들 관피아(133)를 부처별로 분류하면 기획재정부 출신이 21(15.8%)으로 가장 많고 산업통상자원부(20·15.0%), 국토교통·해양수산부(19·14.3%), 감사원·(11·8.3%), 대통령실(7·5.3%) 등의 순이었다.

 

임원 가운데 관피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예금보험공사(64.2%)였고 한국가스기술공사(62.5%), 강원랜드·철도시설공단(50%), 한국전력공사·철도공사(46.6%), 부산항만공사(45.4%), 지역난방공사(44.4%) 등이 뒤를 이었다.

 

김철 사회공공연구소 연구실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관피아가 공공기관에 얼마나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이어 그는 공공기관 정상화 위해서는 '관피아 낙하산' 관행부터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민주노총 “선원법 개정해야...씨스포빌 ‘대법원’ 판결 불이행”
전종덕 진보당 의원과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전국민주연합노동조합은 22일 “씨스포빌(주)가 대법원 판결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대법 판결대로 해고 노동자 복직과 씨스포빌 대표 기소 수사를 촉구했다. 전종덕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에서 “2021년 씨스포빌 선원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설립하자 부당인사 발령, 일방적 휴직 강제, 해고 등으로 노동자들을 탄압해왔다”며 “2025년 대법원에서 부당인사, 부당휴직, 부당해고로 확정 판결했지만 사측은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 의원은 “씨스포빌이 헌법과 법률이 보장하는 노동자의 노조할 권리를 무시했다”며 “씨스포빌의 반헌법적인 행태를 두고 볼 수 없으며 대법원 판결 이행과 선원 노동자 처우 개선을 위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노총 해운지부는 ‘선원법’ 개정을 요구했다. 이들은 “현재 선원법으로는 사측에 이행강제금 부여를 강제할 수 없어 대법원 판결을 회사가 이행하지 않으면 대응 방법이 없다며 선원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검찰은 2022년 10월, 선원법 위반으로 송치된 이 사건에 대해 제대로 된 수사조차 진행하지 않고 있다가 대법원 판결이 난 이후에야 조사를 진행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