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획


흙의 반란이 시작됐다(11-3)


시설 하우스로 뒤덮인 농경지, 흙의 생태계 무너져 



언뜻 보면 과거 '퇴비증산사업'과 비슷한데 낙엽을 주어오면 바로 돈으로 지급한다는 게 다른 것 같습니다. 영덕군이 지금도 그런 사업을 하고 있는 지 모르겠습니다만, 상관 없습니다. 어느 지자체라도 낙엽, 산 풀, 수풀, 들풀 등을 베어오는 사람에게 돈을 주고, 천연 퇴비를 만들어 싸게 공급하면 되지 않을까요? 저는 그것이 제2의 퇴비증산운동의 시작이고 산성화된 흙을 살려내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아무리 첨단기술이 발전하고 수확량이 늘었다지만 이미 우리나라 농경지는 하늘에서 보면 시설 하우스로 뒤덮였습니다. 시설 하우스의 흙은 말할 것이 없고 그렇지 않은 농경지도 화학영농으로 인해 산성화 되면서 죽어가고 있습니다. 천연 퇴비 사용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흙에는 유기물 함량이 뚝 떨어졌고 미생물 생태계가 무너지기 시작한지 오래됐습니다.    

 

그런 흙에서 자라는 식물은 자생력이 없습니다. 자생력이 없으니 병충해의 피해가 늘어나고 이를 막기 위한 농약의 사용량은 갈수록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흙에서 살아야 할 유익한 미생물과 곤충이 소멸하고 있는 중입니다. 지속가능한 흙에 필수적인 생물 다양성이 붕괴 되고 있다는 말이지요.  

 


수풀, 들풀, 볏짚으로 만든 퇴비, 손에 쥐면 향기로운 흙냄새



글쎄요. 퇴비 만들기가 그리 어려운가요? 퇴비 1㎏을 만들려면 산풀 1.5㎏과 들풀 2.0㎏, 보릿짚(또는 볏짚) 0.5㎏이 필요합니다. 풀은 베어 2~3일 말린 다음 30㎝ 길이로 자르고, 보릿짚은 미리 헤쳐 놓고 물을 충분히 뿌려 3~4등분합니다. 그런 다음 재료를 고루 섞어서 퇴비사(堆肥舍)에 발로 밟으면서 차곡차곡 쌓으면 됩니다. 


퇴비사가 없어서 밖에 두어야 한다면 비닐이나 거적을 덮어서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해야 겠지요. 퇴비가 발효될 때 질소와 칼리분이 물에 녹아 흘러내리게 되므로 고이는 곳에 통을 묻어 받습니다. 이를 2~3배의 물에 타서 액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일에 한번씩 2~3회 뒤집어쌓기를 해야 하는데 이때 손으로 꽉 쥐면 손가락 사이로 한 두 방울 물기가 비칠 정도로 수분을 보충해 줘야 합니다. 


 퇴비가 발효할 때 내부 온도는 65도~70도 가까이 되어 유해한 균은 사멸합니다. 잘 된 퇴비를 한 줌 쥐어보면 마치 흙과 같고 흙처럼 좋은 향이 납니다. 퇴비는 흙에서 온 것이니까 당연히 흙과 같겠지요.  


퇴비는 친환경 유기농산물뿐만 아니라 일반 농산물 생산에도 중요한, 농산물의 밥이자 유기물의 보고입니다. 다시 옛날로 돌아가면-제가 초등학교 다닐 때 여름이면 길거리·논두렁·밭두렁·산 밑자락에는 풀을 베어 퇴비를 쌓았지요.

 

보리짚 밀짚도 소 돼지 똥과 함께 작은 산봉우리처럼 높게 쌓아 지렁이가 가뜩 들어 있는 퇴비를 만들었습니다. 가을걷이가 끝날 때는 볏짚을 퇴비로 이용하곤 했습니다만, 요즘에는 볏 집을 공룡 알처럼 만들어 사료로 팔고 있습니다. 

 


바위에서 흙으로 수억 년이 녹아든 흙, 흙이 죽으면 인류는 멸종



농사짓는 농업인들에게만 퇴비를 만들라고 말하기는 이제 불가능해졌습니다. 퇴비가 농토에 좋은 줄은 잘 알고 있지만 농가 일손이 턱없이 부족하고 고령화됐기 때문이죠.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농가가 건강한 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퇴비 생산방법을 고민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대도시의 가로수 낙엽이나 떨어진 잔가지를 회수해 퇴비로 만들 수도 있겠지요. 항생제에서 자유로운 친환경 축산 분뇨와 천연유기물을 혼합한 고품질 퇴비를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흙을 살리는 데 조상들의 썼던 퇴비만 못하다는 소문이 들립니다.   


흙은 수억 년 전부터 바위가 부서져서 만들어진 정말 가치를 따질 수 없는 인류의 보물입니다. 우주 어느 행성에 지구와 같은 흙이 있습니까. 달나라를 가봐야 그곳에선 농사를 지을 수 없습니다. 인류의 생존은 건강한 흙에 달려 있습니다. 흙이 죽으면 인간은 종말입니다. 흙을 살리려는 뜻을 간절히 담아 제2의 퇴비증산 운동을 펼쳐야 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이어서)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따릉이 타면 내년부터는 돈을 지급한다고요? ...“개인 자전거 이용자에게도 지급하라”
정부, “따릉이 이용자에게 탄소중립 포인트를 제공하겠다” 이용빈 국회의원, “개인 자전거 이용자에게도 포인트 지급하라” 서울시 따릉이와 같은 공공자전거를 이용하면 내년부터는 주행거리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받게 되어 현금처럼 사용하게 될 전망이다. 정부는 세계 자전거의 날(4월 22일)을 앞두고 15일 이와 같은 내용으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공공자전거 이용실적에 따라 탄소중립 포인트를 지급하는 시범사업을 일부 지자체와 2025년에 추진 후 그 결과를 토대로 2026년부터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정부의 추진방안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대상이 공공자전거에 국한한 것에 대해 국회 탄소중립위원회 소속 이용빈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그 대상을 본인 소유 자전거 이용자들에게도 지급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용빈 의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자전거 교통수단 분담률을 높이는 방안에 소홀한 현실을 지적하며 “기후위기 시대에 기존 자동차 중심이 아닌, 보행자와 자전거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하며 ‘자전거 대한민국’으로 만들어 가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따라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