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위원회가 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를 결정할 경선 방식을 ‘권리당원 50%와 일반 국민(여론조사) 50%’가 참여해 후보를 선출하기로 잠정 결론 내렸다.
기존의 100% 완전 국민경선을 변경한 것이다.
이 같은 경선 규칙 개정은 앞으로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에 보고된다. 향후 최고위 의결, 당무위원회 의결, 전당원 투표, 중앙의원회 의결 절차를 거치면 최종 확정된다.
권리당원 중 투표권을 갖는 대상은 12개월 이전에 당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111만 명이다. 국민 여론조사의 경우, 안심번호 추출 방식으로 국민선거인단 100만 명을 추출하고, 두 개의 여론조사기관에서 50만 명씩 국민여론조사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19대 대선 이후 준용돼 온 국민경선(대의원·권리당원+참여 의사를 밝힌 일반 국민 선거인단 참여)을 유지할 것을 요구해 온 비주류 주자들은 반발은 이어졌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12일 “대선특별당규위원회는 치열한 논의 끝에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경선룰을) 바꾸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제1차 전국당원대회를 개최하고 당원주권 시대를 열겠다고 천명했다”며 “정당의 주인인 당원들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게 당원주권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했다.
이 위원장은 “어떠한 제도든 간에 ‘역선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방법은 없다”면서도 “안심번호 추출에 의한 여론조사 방식이 지금 주어진 방법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판단했다”고 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 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지금의 민주당 모습은 너무 위험하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