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5.5℃
  • 구름많음강릉 8.7℃
  • 박무서울 9.0℃
  • 구름많음대전 8.7℃
  • 박무대구 8.7℃
  • 박무울산 11.1℃
  • 박무광주 10.0℃
  • 흐림부산 15.1℃
  • 맑음고창 6.5℃
  • 맑음제주 17.4℃
  • 구름조금강화 7.9℃
  • 구름많음보은 5.8℃
  • 구름많음금산 4.8℃
  • 맑음강진군 8.9℃
  • 구름많음경주시 7.5℃
  • 구름많음거제 12.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3명 추가…총 15명

현재 87명 검사진행 중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3명이 더 추가 확인되면서 총 15명이 됐다.

 

질병관리본부는 2일 오전 9시 기준으로 추가 3명의 확진 환자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13번째 환자는 28세 한국인 남성으로, 지난달 31일 임시항공편으로 1차 귀국한 입국 교민 368명 중 1명이다. 1차 입국교민 전수 진단검사 과정에서 확인돼 국립중앙의료원에 격리조치 됐다.

 

입국 시 증상을 호소했던 18명을 포함해 나머지 1차 입국 교민 367명은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또 지난 1일 임시항공편으로 귀국한 2차 입국교민도 전수 진단검사를 진행 중이며, 우선 시행된 유증상자 7명의 검사 결과는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14번째 환자는 40세 중국인 여성으로 12번째 환자의 가족으로 자가격리 중이었으며, 현재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15번째 환자는 43세 한국인 남성으로 지난달 20일 우한시에서 입국했다. 입국 당시 4번째 환자와 같은 비행기에 탑승한 사실이 확인돼 관리 대상자였다가 지난 1일부터 호흡기 증상을 호소해 실시한 검사 결과 확진됐다.

 

한편 질본은 현재까지 진행된 8번째, 12번째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경과를 발표했다.

 

8번째 확진자인 62세 한국인 여성과 접촉한 사람은 현재까지 72명으로, 이 중 3명이 유증상자로 확인됐으며, 2명은 음성, 1명은 검사에 있다. 나머지 접촉자에 대해서는 자가격리 등 조치가 취해진 상태다.

 

8번째 환자는 7번째 환자와 우한시에서 원래 알고 지낸 사이로 귀국 시 같은 비행기 옆 좌석에 앉았다. 항공기 승객 및 승무원 등 접촉자에 대한 조사 역시 진행 중이다.

 

12번째 확진자 48세 중국인 남성이 현재까지 접촉한 사람은 138명으로 확인됐다. 이 중 가족 1명이 14번째 환자로 확진돼 분당 서울대 병원에 입원 중이며, 나머지 접촉자는 자가격리 등 조치 중이다.

 

질본은 2일 오전 9시 기준으로 총 429명의 조사대상 유증상자에 대해 진단검사를 시행하여 15명 확진, 327명 검사 음성으로 격리해제, 87명은 검사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정은경 질본 본부장은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조기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