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9.6℃
  • 맑음서울 15.2℃
  • 맑음대전 17.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8.0℃
  • 구름조금광주 18.4℃
  • 구름많음부산 20.1℃
  • 구름많음고창 17.4℃
  • 흐림제주 18.8℃
  • 맑음강화 13.0℃
  • 맑음보은 15.9℃
  • 맑음금산 17.8℃
  • 구름많음강진군 19.1℃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메뉴


『특별기획』 투자의 귀재가 외친 "젊은이여, 農大(농대)로 가라"④

 

"여기 모인 학생 중에 경운기 몰 줄 아는 사람이 정말 단 한 명도 없나요?

 

5년 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강연에 나선 세계적인 투자가 짐 로저스 회장이 청중인 학생들에게 물었다. 손을 드는 사람이 없자, 그는 “서울대학교 학생들은 똑똑하다고 들었는데 실망”이라고 농담하면서 말했다.

 

“앞으로 30년 후, 학생 여러분이 은퇴할 때쯤 식량과 농경지 부족이 심해져 농업은 수익성이 가장 높은 산업이 될 것입니다. 그러니 모든 사람이 농업을 등한시하고 도시로 몰려나올 때 반대로 여러분이 농부가 되시라, 특히 농업이야말로 한국통일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 했다.

 

그가 왜 산업화 시대에 투자 우선순위에서 밀려났던 농업에 주목하라는 것일까? 아마 그 이유는 인구 증가에 따른 세계적인 식량 부족 현상이 예상되기 때문일 것이다. 30년 뒤 2050년이 되면 전 세계인구는 90억 명이 되고, 이 인구가 먹고 살려면 지금보다 70%를 증산해야 하는데 공급 능력은 부족하다.

 

농업과 직결되는 세계 식량 시장은 2020년 현재 약 6조4000억 달러로 IT시장 3조 5000억 달러와 자동차 시장 1조6000억 달러보다 각각 1.5배, 3배가 높은 규모다. 특히 세계 1위 식량 수입국인 중국의 성장으로 아시아 식량 시장은 10년 전부터 연평균 4.5%씩 성장하고 있다. 고용 측면에서 봐도 농업은 세계 최대 규모다. 농경지가 줄어들고 있지만 지금도 약 10억 명 이상이 종사하고 있다.

 

이미 오래전부터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세계적인 IT 기업들이 너나없이 농업에 뛰어들고 있다. 앞으로 거대한 혁신이 일어날 수 있는 분야가 농업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어그테크(argtech), 즉 농업(agriculture)의 생산, 유통, 소비의 전 과정에 빅데이터·클라우드·인공지능(AI) 등의 기술(technology)을 접목한, 이른바 스마트농업을 통해 농업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농업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식량 부족, 노동력 부족, 기상 이변, 소비자 기호 변화 등 농업이 당면한 토지와 노동의 한계를 극복해 보자는 것이다.

 

2012년,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주 빌 게이츠는 일찍부터 소규모 자영농에 의한 ‘농업혁명’을 역설했고, 지금도 슈퍼 종자 등 농업에 관심이 높다. 구글은 5년 전, 토양 데이터 등을 분석해 생산성 개선을 돕는 농업 IT 스타트업 ‘파머스비즈니스네트워크’에 투자했다. 또 물 사용량은 줄이되 생산량을 높이는 기술을 보유한 ‘크롭엑스’에도 투자했다.

 

일본 최대 IT 투자 기업인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은 직접 농사짓기에 나섰다. 2016년 봄 일본의 개척지의 상징인 홋카이드에 농업생산 법인을 설립했다. 홋카이드는 홋카이드 농학교 (현재의 홋카이드 대학)의 초대 교두(敎頭, 교감)였던 윌리엄 스미스 클라크(1826~1886)가 “소년이여 야망을 가져라”라는 유명한 말을 남긴 곳이다. 클라크는 가축과 기계를 이용한 밭농사와 축산업을 홋카이드 농업개척에 권장, 적용했던 사람이었다.

 

손 회장은 그를 닮고 싶었던 것이었을까? 이제는 첨단 IT를 이용해 토마토·아스파라거스·양배추 등의 채소를 최적화된 환경에서 최고 품질로 생산하고 소프트뱅크의 인터넷 통신 판매망을 활용해 시장에 공급한다고 한다. 이미 아시아 지역의 부유층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판매망을 넓히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특별기획』 비옥하고 건강한 흙, 인류의 필수생존 조건⑤ (m-economynews.com)로 이어집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천년의 미소 반가사유상···AI와 3D프린팅으로 재탄생
3D프린팅 서비스 기업 ‘글룩’이 운영하는 아트커머스 플랫폼(스컬피아)은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브랜드 ‘뮷즈(MUDS)’, 인기 일러스트 최고심 작가가 협업을 통해 탄생시킨 ‘반가사유상 마음 시리즈’를 지난달 20일 정식 런칭했다고 밝혔다. 국립중앙박물관 용산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이번 프로젝트는 천년 넘게 고요한 사유의 자세로 위로와 치유를 전해온 우리나라의 대표 유산인 반가사유상을 현대적인 감각과 기술로 재해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반가사유상 마음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첨단 기술을 통해 전통적인 형태에 새로운 움직임을 부여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스컬피아는 AI 기반의 동세(動勢) 연구를 통해 반가사유상의 고유한 미학과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세 가지 제스처를 개발해 담아냈다. ‘반가사유상 마음 시리즈’는 사유의 미소를 간직한 채 ‘K-볼하트’를 하거나, 사랑을 가득 담은 손짓을 보내고(‘사랑가득’), 엄지를 치켜세우는(‘네가최고’) 모습은 기존의 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현대인에게 다정스러우면서도 적극적으로 위로와 용기를 건넨다. AI로 생성된 동세 데이터는 스컬피아의 정교한 3D 모델링 및 고해상도 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