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획


【특별기획】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유기농업의 핵심⑧

 

그렇다면 화학비료를 전혀 쓰지 않는 “유기농산물”은 안전한 것일까? 반드시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게 『땅심 살리는 퇴비 만들기』 저자인 석 종욱 씨의 말이다.

 

석씨는 미숙(未熟)한 퇴비나 유박(油粕, 깻묵. 여기서는 종자에서 기름을 빼고 난 찌꺼기를 총칭) 같은 유기질 비료만 사용해도 ‘질산염’이 나온다고 한다. 유박 등은 탄질비(비료를 만들 때의 탄소와 질소의 비율)가 아주 낮아서 땅속에 들어가자마자 화학비료와 유사하게 분해되고 그 양분을 작물이 빠르게 이용하게 되어 역시 화학비료와 같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아직 숙성이 안 된 퇴비는 퇴비 자체의 양분 보유 능력이 부족해, 퇴비에 있던 양분이 흙으로 나오게 되므로 작물이 그것을 다량으로 흡수하게 되어 문제를 일으킨다.

 

석씨는 일본의 한 조사자료를 인용해 흙에서 재배한 농산물보다 수경(水耕) 재배한 것에서 ‘질산염’ 수차기 무려 5배 이상 검출되었다면서 뿌리 부근에 영양분이 많이 존재하면 작물이 그것을 쉽고 빠르게 흡수한다는 걸 알 수 있었다고 한다.

 

농업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독일은 농업담당 관리가 각 농장의 작물 수확이 끝나면, 1년에 한 번. 각 농장의 지하 1m에 있는 흙의 질산염 상태를 조사하며 기준치 이상이 나오면, 정부 보조나 각종 지원을 배제한다고 한다. 흙이 건강하지 못하다면 건강한 농작물을 키울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건강한 흙이란 어떤 것일까?

 

한마디로 말해서 흙에 서식하는 모든 생명체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상태다. 또 그렇게 되도록 유익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흙을 말한다. 흙의 건강상태도 다른 모든 생명체와 똑같다. 사람이 호흡하고 물 마시고 밥을 먹어야 사는 것처럼 건강한 흙은, 흙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기상(氣相, 공기). 액상(液相, 물), 고상(固相, 무기물, 유기물)으로 구성된 3상이 적절한 비율로 분포한다. 적당한 양분, 수분이 있고, 미생물이 살아 숨 쉰다는 말이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흙 1g당 수천만 개에서 수억 개의 미생물들이 산다. 바로 이들 미생물은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이로운 일과 해로운 일을 쉬지 않고 벌인다. 이 활동이 너무 복잡해서 현대과학으로도 풀지 못하는 수수께끼들이 아직 수없이 일어나고 있다.

 

그래서 흙은 살아있다고 한다. 이런 미생물들이 모두 죽어버리거나 이로운 미생물은 죽고 해로운 미생물이 더 많아지면 죽어버린 흙이 된다. 흙이 산성화가 되면 해로운 미생물이 많아지고 이로운 미생물은 적어진다. 양분의 유효도도 떨어진다. 그래서 나쁜 일이 더 많이 일어나고 흙은 죽었다고 말하는 것이다. 화학비료, 농약을 필요 이상 써 오면서 흙 속의 미생물이 건강하게 살아주기를 바라는 건 어불성설이다.

 

유기농산물(有機農産物)이라고 할 때 유기는 유기물(有機物)이란 뜻이다. 유기물은 동물, 식물, 미생물의 몸을 구성하고 있거나 이들 생물체가 생산해 낸 화합물로서 자연에서 완전히 분해되는 물질이다. 그러니 유기농산물은 미생물들이 분해해 완전하게 숙성된 퇴비(堆肥, 두엄)만을 가지고 흙에서 키워 우리 몸에 안전한 무공해 농산물을 말한다.

 

【특별기획】건강한 흙은 국민의 건강을 담보하는 국가 자원⑨ (m-economynews.com)으로 이어집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김기배 팔달구청장, 자신이 일해왔던 분야 '노하우' 주민들에게 진솔하게 전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내에 있는 '방화수류정' 주변을 감시하고 군사를 지휘하는 군사시설로 지어질 당시 군사시설과 어울리지 않게 아름답다는 평이 있었지만 아름다우면서도 견고하게 쌓아 상대방의 기를 먼저 꺾는 것도 병법의 하나로 여겨져 지어지게 되었는데 이는 '아름다움이 능히 적을 이긴다'고 여긴 것입니다" 수원화성사업소장과 문화청년체육국장 등을 지낸 김기배 팔달구청장이 자신이 근무하면서 쌓아 놓았던 '노하우'를 구민들에게 진솔하게 전한 것이다. 김기배 구청장은 최근 대한노인회 팔달구지회 부설 노인대학(학장 류병철)에서 수원의 문화를 한 층 더 깊이 이해하는 일일 강의를 펼쳐 큰 호응을 얻었다. 이날 김기배 구청장은 화성사업소장과 문화청년체육국장을 역임하며 쌓인 수원의 문화유산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종각과 낙남헌, 화령전, 방화수류정 등 수원을 건설한 정조대왕시절 수원의 문화재들과 그에 얽힌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냈다. 김 구청장은 정조대왕이 팔달산 가장 높은 곳에서 군사를 지휘했던 서장대에 대해서도 거침없이 강의를 이어 나갔다. 담당 팀장으로 있을 당시 서장대에 화재가 발생하여 서장대가 전소 된적이 있었는데 지붕의 보가 타지않고 조금 그을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