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메뉴

정치


김정호 의원, 수출입은행장으로부터 '적극 검토하겠다'는 답변 받아내

 

지난 25일(월) 기재위 수출입은행 업무보고에서 올 상반기 예정되었던 수출입은행 창원지점 폐쇄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을 촉구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정호 의원(경남 김해시을)이 은성수 수출입은행장에게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받아냈다.

 

수출입은행은 지난 2016년 조선업 등 여신의 주력 업종들이 부진하면서 위기를 겪자 경영혁신의 일환으로 혁신안(23개)을 발표(‘16.10월)했다.

 

이후 수출입은행은 이사회(‘18.12월)를 열고 창원지점과 출장소 3개소(구미, 여수, 원주)를 폐점대상으로 결정했다. 폐점대상은 여신규모, 고객기업 수, 인근지점 거리를 바탕으로 선정했다. 

 

당시 창원지점이 폐점대상이 된 것은 고객기업수가 가장 적고, 여신잔액 9위, 여신집행액 9위로서 순위가 낮으며 부산지점이 있다는 이유였다. 혁신안에는 경상경비 10% 감축, 해외지점10% 폐쇄, 인원 5% 감축 방안도 담겼다.

 

김정호 의원은 “현재 회복 수순에 있는 수은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지점 30% 축소는 형평성이 과도하다”면서 “경남 경제가 악화된 2018년 한해만을 기준으로 폐점대상이 된 것은 이전의 호황기 상황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은 획일적인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수출입은행은 중소기업들의 수출입업무지원을 하는데 창원지점이 폐쇄되면 기존의 창원지점과 거래하던 기업들이 부산지점에서 업무를 봐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부산지점은 여신잔액과 집행액 1위, 고객기업 수 2위로 창원지점 여신이 이관될 시 업무과부하가 발생하여 제대로 된 수출입지원서비스를 받기가 어려워지는 등 많은 문제도 예상된다.

 

김 의원은 “지점 폐쇄로 인한 비용 절감은 7억원에 불과한 반면, 지역 기업들이 입는 피해가 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역행하는 처사”라면서 “경남 경제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조선업 경기 회생으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현 시점에서 찬물을 끼얹겠다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역과 상황변화를 무시하고 무리한 혁신안을 강행하는 것은 허용할 수 없다”며 “수출입은행 창원지점 폐쇄를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에 대해 은성수 수출입은행장은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보내왔다.

 

김 의원은 “창원지점 폐쇄가 최종 결정될 때까지 과정과 절차를 엄밀히 들여다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소비자원, 직원 사칭· 대리결제 등 소상공인에 '사기 주의보'
한국소비자원이 기관 직원을 사칭하며 자영업자에게 접근해 판매물품 구매를 조건으로 다른 물품 결제를 대신하도록 유도하는 사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며 소상공인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한 남성이 꽃집, 화훼농원 등에 전화해 "한국소비자원 직원인데 나무, 화분 등을 대량 구매하고 싶다"며 견적서를 요청했다."이후 기관 상징(CI)과 홈페이지 주소가 인쇄된 명함을 보낸 뒤, ‘물품 구매 확약서’ 작성이나 홍삼·매실원액 등 다른 제품을 대신 구입해 달라며 대리 결제를 유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최근 어려운 경기를 틈타 소상공인들의 절박한 심리를 이용한 사기 행위가 끊이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공공기관은 결코 물품 구매를 위해 대리 결제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소비자원은 소상공인에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구매대행 요구에 절대 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1일 '햅핑'이 운영하는 '의류 도매 S-마트' 쇼핑몰을 이용한 소비자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소비자원은 최근 1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 81건은 대부분 배송 지연 등으로 인한 정당한 환급 요구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