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1.4℃
  • 구름많음강릉 18.8℃
  • 맑음서울 19.5℃
  • 맑음대전 21.9℃
  • 구름조금대구 24.4℃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0.6℃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17.6℃
  • 맑음강화 18.8℃
  • 맑음보은 20.8℃
  • 구름조금금산 21.3℃
  • 맑음강진군 21.6℃
  • 구름조금경주시 23.6℃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6월 취업자 36만명 늘어

6월 취업자가 36만명 늘었다.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6월 취업자는 2547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6만(1.4%) 증가했다. 지난해 10월(39만6000명) 이후 8개월만에 가장 많다. 취업자수 증가폭은 지난 4월(34만5000명) 30만명대로 올라섰다가 5월(26만5000명) 다시 주줌했다.

고용률은 60.5%로 1년 전에 비해 0.1%포인트 올랐다. 남자는 71.6%로 지난해와 같았고 여자는 49.9%로 전년보다 0.1%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의 15~64세 고용률은 65.1%로 작년 같은달보다 0.1%p 올랐다.

연령별로 보면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20대는 3만5000명 줄었다. 지난해 5월 이후 1년2월째 마이너스다. 10대(-1만1000명)도 넉달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15~29세의 청년 취업자수 역시 14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30대 취업자도 2만3000명 감소했다. 반면 50대는 26만9000명, 60세 이상은 15만1000명이 각각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4만명·9.6%), 제조업(9만6000명·2.3%) 등의 취업자가 늘었다. 예술·스포츠·여가관련 서비스업(-3만6000명·-8.5%),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3만5000명·-3.4%) 등에선 취업자가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가 49만7000명 증가한 반면 임시근로자는 11만4000명 감소했다. 자영업자는 6개월 연속 줄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4.6시간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시간 짧아졌다.실업자는 81만3000명으로 1년 전과 견줘 9000명(-1.0%)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지난해 6월에 비해 18만5000명 증가한 1580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취업준비자는 58만1000명으로 3만5000명 늘었다.

이희 기자 / leehee@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이용우·화섬식품노조·건생지사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 정착돼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건생지사)는 28일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 주민에게 제대로 공개하고 이행점검을 위한 민관 지역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 발의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가 정착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017년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202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가 시행됐다. 2021년부터 배출저감 대상물질 9종에 이어 2025년 올해부터 2029년까지 배출저감 대상물질 53종을 연간 1톤 이상 배출하는 30인 이상 업체는 환경부에 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를 제출하고 매년 배출저감 이행실적을 해당 지자체로부터 점검받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2025년 4월 현재 배출저감계획서 제출 대상사업장은 전국 329개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1개로 가장 많았고 기초 지자체로는 경상남도 창원시가 21개로 가장 많았다. 이 사업장들은 제출한 배출저감계획서에 따라 매년 집행해야 하고 지자체는 사업장별 배출저감계획서를 주민에게 공개할 수 있고 사업장별 이행실적을 점검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