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1.4℃
  • 구름많음강릉 18.8℃
  • 맑음서울 19.5℃
  • 맑음대전 21.9℃
  • 구름조금대구 24.4℃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0.6℃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17.6℃
  • 맑음강화 18.8℃
  • 맑음보은 20.8℃
  • 구름조금금산 21.3℃
  • 맑음강진군 21.6℃
  • 구름조금경주시 23.6℃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한∙미 전작권, 북한 핵위협 시나리오별 효과적 억제 방안 포함

한국과 미국이 2일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전환 시기를 사실상 연기했다.

한∙미가 이날 발표한 공동성명에 명시된 조건에 기초한 ‘저작권전환’이란 말은 한국이 북핵 대응 능력을 완비하는 것을 조건으로 전작권을 전환한다는 의미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이날 공동기자회견에서 “전작권 전환을 합의했던 2007년 당시 한반도 안보 상황과 북한이 3차 핵실험을 한 이후 현재 상황은 확연히 다르다”며 “이런 제반 안보 상황에 따른 조건과 대비 능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척 헤이글 미국 국방부 장관도 “북한 핵 능력과 미사일 능력이 상당히 강화됐다”며 “우리는 위협과 (대응)능력을 기반으로 계속 전략을 재검토한다”고 동감을 표했다.

 한∙미는 2006년 9월 16일 정상회담에서 전작권 전환에 합의했고, 이어 2007년 2월 양국 국방장관 회담에서 전작권 전환 시기를 2012년 4월로 결정했다. 그러나 2010년 6월 양국 정상회담에서 전작권 전환시기가 2015년 12월 1일로 한 차례 연기됐다.

기존 합의 시한인 2015년 12월 1일이 규정된 ‘전략동맹2015’는 한국 주도의 방어 능력을 완비를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이번 회의에서의 전환 전제 조건은 ‘북핵대응능력’이라는 구체적 목표로 새롭게 제시됐다.

김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북한 핵위협 시나리오별로 효과적인 억제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며 “한 미 동맹의 대북 억제 실효성과 미국의 확장 억제 제공 공약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를 크게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 sy1004@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이용우·화섬식품노조·건생지사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 정착돼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건생지사)는 28일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 주민에게 제대로 공개하고 이행점검을 위한 민관 지역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 발의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가 정착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017년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202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가 시행됐다. 2021년부터 배출저감 대상물질 9종에 이어 2025년 올해부터 2029년까지 배출저감 대상물질 53종을 연간 1톤 이상 배출하는 30인 이상 업체는 환경부에 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를 제출하고 매년 배출저감 이행실적을 해당 지자체로부터 점검받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2025년 4월 현재 배출저감계획서 제출 대상사업장은 전국 329개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1개로 가장 많았고 기초 지자체로는 경상남도 창원시가 21개로 가장 많았다. 이 사업장들은 제출한 배출저감계획서에 따라 매년 집행해야 하고 지자체는 사업장별 배출저감계획서를 주민에게 공개할 수 있고 사업장별 이행실적을 점검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