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1.4℃
  • 구름많음강릉 18.8℃
  • 맑음서울 19.5℃
  • 맑음대전 21.9℃
  • 구름조금대구 24.4℃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0.6℃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17.6℃
  • 맑음강화 18.8℃
  • 맑음보은 20.8℃
  • 구름조금금산 21.3℃
  • 맑음강진군 21.6℃
  • 구름조금경주시 23.6℃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집이 경매에 넘어갔을 때 세입자가 받은 한도액 확대된다

내년부터는 주택이나 상가가 빚 때문에 경매에 넘어가도 소액 세입자가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는 보증금 한도가 높아지고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받을 수 있는 월세 한도는 낮아진다.

법무는 서민 세입자들의 전 월세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택 상가임대차보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고 13일 밝혔다.

현행 임대차보호법상 임대 보증금이 일정 금액 이하인 주택 세입자와 영세 상인은 건물주가 부도가 나더라도 다른 채권자보다 먼저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이번 개정안은 이러한 보증금 우선 변제 제도의 보호 범위를 확대하고 돌려받을 수 있는 보증금 금액도 상향 조정했다.

현재 서울에서 보증금 7500만원이하 주택에 세 들어 사는 세입자만 집이 경매에 들어가게 되면 다른 채권자보다 앞서 2500만원까지 우선 변재 받고 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전세 보증금이 9500만원이하(서울기준)인 세입자도 3200만원을 먼저 돌려받을 수 있게 된다. 서울 이외 지역도 보호 대상 임차인의 범위(보증금 4500~8000만원)가 오르고 변제 받을 수 있는 보증금(1500~2700만원)도 커진다.

정부는 상가를 빌려서 장사하는 영세사업자의 우선 변제 대상범위도 보증금 최고 5000만원에서 6500만원(서울기준)으로 확대되고 변재금액도 1500만원에서 2200만원으로 늘어난다.

법무부는 이번 개정안으로 주택 세입자의 약 39만6000가구와 영세상인 21만6000여명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서민들의 월세 부담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택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상한비율은 현행 14%에서 10%로 낮아진다.

가령 현재 전세 세입자에게 집주인이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한다면 지금까지는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최고 연 14%에 해당하는 월세를 요구할 수 있었지만 내년부터는 최고 연 10%가 적용된다. 또 상가에 대한 전, 월세 전환율도 현행 15%에서 12%로 내렸다.

또 영세상인들이 같은 장소에서 일정 기간 안정적으로 사업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상가임대차보호법의 적용 대상범위도 현행 3억원에서 4억원(서울기준)으로 확대됐다. 수도권 광역시를 비롯한 다른 지역은 1억8000만~3억원으로 상향조정됐다. 상가임대차보호법의 적용대상의 기준인 임차료는 보증금과 월세를 합쳐 계산된다.

이번 개정안은 내년 1월부터 시행되는 만큼 2014년부터 임대차계약을 맺는 세입자에게만 해당된다.

이정훈 기자 / sy1004@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이용우·화섬식품노조·건생지사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 정착돼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건생지사)는 28일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 주민에게 제대로 공개하고 이행점검을 위한 민관 지역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 발의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가 정착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017년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202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가 시행됐다. 2021년부터 배출저감 대상물질 9종에 이어 2025년 올해부터 2029년까지 배출저감 대상물질 53종을 연간 1톤 이상 배출하는 30인 이상 업체는 환경부에 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를 제출하고 매년 배출저감 이행실적을 해당 지자체로부터 점검받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2025년 4월 현재 배출저감계획서 제출 대상사업장은 전국 329개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1개로 가장 많았고 기초 지자체로는 경상남도 창원시가 21개로 가장 많았다. 이 사업장들은 제출한 배출저감계획서에 따라 매년 집행해야 하고 지자체는 사업장별 배출저감계획서를 주민에게 공개할 수 있고 사업장별 이행실적을 점검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