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1.4℃
  • 구름많음강릉 18.8℃
  • 맑음서울 19.5℃
  • 맑음대전 21.9℃
  • 구름조금대구 24.4℃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0.6℃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17.6℃
  • 맑음강화 18.8℃
  • 맑음보은 20.8℃
  • 구름조금금산 21.3℃
  • 맑음강진군 21.6℃
  • 구름조금경주시 23.6℃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30대 그룹 사장단 “투자부진은 과도한 규제 때문”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9일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 등 기업 규제 관련부처 차관 등을 대동하고 30대 그룹 사장단과 간담회를 가졌다.

윤 장관은 이 자리에서 “대통령이 8월 27일 10대 재벌 총수들을 불러 투자와 고용 촉진을 당부하고 애로사항을 많이 들어줬다”며 “경기가 회복되고 있으니 이제 여러분은 약속을 지키면 된다”고 했다.

그러나 재계는 투자부진에 대한 원인을 과도한 규제로 꼽았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원화 가치 절상 등 불확실한 대내외 경제 여건도 있지만, 경제 민주화법과 노동환경 관련 규제 등이 기업 투자를 저해하는 주요인이라는 것이다.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은 “상반기에 경제 민주화 관련법들이 많이 통과됐다”며 “지금도 많은 경제 민주화 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인데 이제는 어느 정도 마무리하고 기업이 투자에 매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도와 달라”고 했다.

이에 대해 공정거래위 정재찬 부위원장은 “이제 남은 법안은 신규 순환출자 금지와 금산(금융과 산업)분리 관련 법안 정도”라고 대답했다.

이 자리에서는 노동문제와 통상임금 문제, 환경 관련 과잉 규제에 대한 불만도 쏟아져 나왔다.

한편, 이날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주재로 열린 서울 상공회의소 회장단 회의에서도 민주화법 등 규제 환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회장단은 “경제계의 가장 큰 현안은 통상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문제”라며 “근로시간을 단계적으로 단축하는 데는 동의하지만 프랑스처럼 투자하기 어려운 나라로 알려져 투자 유치가 힘들어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 sy1004@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이용우·화섬식품노조·건생지사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 정착돼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건생지사)는 28일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 주민에게 제대로 공개하고 이행점검을 위한 민관 지역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 발의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가 정착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017년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202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가 시행됐다. 2021년부터 배출저감 대상물질 9종에 이어 2025년 올해부터 2029년까지 배출저감 대상물질 53종을 연간 1톤 이상 배출하는 30인 이상 업체는 환경부에 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를 제출하고 매년 배출저감 이행실적을 해당 지자체로부터 점검받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2025년 4월 현재 배출저감계획서 제출 대상사업장은 전국 329개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1개로 가장 많았고 기초 지자체로는 경상남도 창원시가 21개로 가장 많았다. 이 사업장들은 제출한 배출저감계획서에 따라 매년 집행해야 하고 지자체는 사업장별 배출저감계획서를 주민에게 공개할 수 있고 사업장별 이행실적을 점검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