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1.6℃
  • 구름많음강릉 20.1℃
  • 맑음서울 19.7℃
  • 구름조금대전 22.3℃
  • 맑음대구 23.9℃
  • 맑음울산 21.0℃
  • 맑음광주 20.8℃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7℃
  • 구름많음제주 18.4℃
  • 맑음강화 17.6℃
  • 구름조금보은 21.0℃
  • 구름조금금산 20.8℃
  • 맑음강진군 22.0℃
  • 구름조금경주시 23.7℃
  • 맑음거제 20.0℃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암세포 전이 안 되게 막는 획기적인 신물질 개발

암세포가 인체 내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막는 획기적인 신물질이 국내 연구단에 의해 개발됐다.

미래창조과학부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 김성훈(서울대 약대 교수)단장은 “효소 단백질 KSR의 기능을 차단하는 물질이 폐암과 유방암 전이를 거의 완벽하게 막는다는 사실을 동물 실험에서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단은 앞서 암세포에서 KSR의 활동이 증가하며 그중 일부가 세포 바깥쪽 세포막으로 이동해 암세포 전이를 촉진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KSR은 세포막에서 특정 단백질과 결합하고 이어 다른 단백질이 여기에 달라붙으면서 암 전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단은 암 전이 차단 신물질을 국내 제약사인 유한양행에 기술 이전했다. 유한향행은 이르면 올해 말부터 전임상시험 등 본격적 신약 개발과정에 들어갈 계획이다.

서울대, 유한양행, 삼성의료원, 고려대, 연세대, 덕성여대, KIST 등 국내 연구진과 함께 미국 하버드 의대, 중국 국립신약스크리닝센터 등 해외 연구진이 함께 개발한 이 신물질은 5~6년 뒤 상용화에 성공하게 되면 전 세계적 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저 화학생물학 인터넷판 11자에 실렸다.

이정훈 기자 /sy1004@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이용우·화섬식품노조·건생지사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 정착돼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건생지사)는 28일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 주민에게 제대로 공개하고 이행점검을 위한 민관 지역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 발의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가 정착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017년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202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가 시행됐다. 2021년부터 배출저감 대상물질 9종에 이어 2025년 올해부터 2029년까지 배출저감 대상물질 53종을 연간 1톤 이상 배출하는 30인 이상 업체는 환경부에 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를 제출하고 매년 배출저감 이행실적을 해당 지자체로부터 점검받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2025년 4월 현재 배출저감계획서 제출 대상사업장은 전국 329개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1개로 가장 많았고 기초 지자체로는 경상남도 창원시가 21개로 가장 많았다. 이 사업장들은 제출한 배출저감계획서에 따라 매년 집행해야 하고 지자체는 사업장별 배출저감계획서를 주민에게 공개할 수 있고 사업장별 이행실적을 점검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