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1.4℃
  • 구름많음강릉 18.8℃
  • 맑음서울 19.5℃
  • 맑음대전 21.9℃
  • 구름조금대구 24.4℃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0.6℃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17.6℃
  • 맑음강화 18.8℃
  • 맑음보은 20.8℃
  • 구름조금금산 21.3℃
  • 맑음강진군 21.6℃
  • 구름조금경주시 23.6℃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2015년부터 대학 구조조성 추진

대학구조조정이 2015년부터 추진된다.

교육부는 12일 모든 대학(전문대 포함 339개)을 절대 평가한 결과에 따라 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매우미흡 등 5개 등급으로 나누고 ‘최우수’를 제외한 등급에 대해서는 차등적으로 정원을 줄여나가는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2011년부터 전체 대학 중 하위 15%대학에 정부 지원을 끊고 부실대학을 강제 폐쇄하는 구조조정을 해왔으나 지금까지 문을 닫는 대학은 5개뿐이다.

이번에 새로 추진되는 대학 구조조정은 부실 대학 폐쇄뿐 아니라 기대에 못 미치는 대학의 정원을 강제로 줄이는 방안도 포함됐다.

교육부는 “정원을 줄이는 폭은 대학의 부실 정도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우수’ 등급대학은 정원을 조금만 줄여도 되지만, ‘매우미흡’ 등급을 받은 대학은 정원을 대폭 줄이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예산지원도 평가 등급에 따라 차등 지원된다. 상위3개 그룹인 ‘최우수, 우수, 보통’은 정부의 대학 예산지원 산업에 제한 없이 참여할 수 있지만, 하위 2개 등급인 ‘미흡, 매우 미흡’은 예산지원 산업 대상에 들 수 없다.

장학금 규모가 줄고 학생들의 학자금 대출도 총액의 70%수준으로 제한되어 하위 등급 대학에 다니는 학생은 장학금을 받기도 어려워진다.

이정훈 기자/ sy1004@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이용우·화섬식품노조·건생지사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 정착돼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건생지사)는 28일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 주민에게 제대로 공개하고 이행점검을 위한 민관 지역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 발의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가 정착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017년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202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가 시행됐다. 2021년부터 배출저감 대상물질 9종에 이어 2025년 올해부터 2029년까지 배출저감 대상물질 53종을 연간 1톤 이상 배출하는 30인 이상 업체는 환경부에 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를 제출하고 매년 배출저감 이행실적을 해당 지자체로부터 점검받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2025년 4월 현재 배출저감계획서 제출 대상사업장은 전국 329개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1개로 가장 많았고 기초 지자체로는 경상남도 창원시가 21개로 가장 많았다. 이 사업장들은 제출한 배출저감계획서에 따라 매년 집행해야 하고 지자체는 사업장별 배출저감계획서를 주민에게 공개할 수 있고 사업장별 이행실적을 점검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