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1.4℃
  • 구름많음강릉 18.8℃
  • 맑음서울 19.5℃
  • 맑음대전 21.9℃
  • 구름조금대구 24.4℃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0.6℃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6℃
  • 맑음제주 17.6℃
  • 맑음강화 18.8℃
  • 맑음보은 20.8℃
  • 구름조금금산 21.3℃
  • 맑음강진군 21.6℃
  • 구름조금경주시 23.6℃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제


日, 전자업체 빅3 “신용등급 투자부적격으로 강등”

일본의 3대 전자업체의 신용등급이 모두 투자부적격(정크)으로 강등됐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22일 소니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투기 등급인 BB-로 세 단계, 파나소닉은 BBB-에서 BB로 두 단계 각각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앞서 피치는 지난 2일 샤프의 신용등급을 기존 BBB-에서 투기 등급인 B-로 6단계 강등했다.

피치는 “소니 주요 제품의 기술적 우위상실과 국제 경쟁 심화, 엔고 등을 고려하면 소니의 실적 회복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 된다”고 강등 이유를 설명했다. 파나소닉에 대해서는 “TV와 평판표시장치 등 핵심 사업 부문에서 경쟁력이 떨어져 현금 창출 능력이 약해졌다”고 발표했다.

국제신용평가사로부터 정크본드의 판정을 받은 파나소닉, 소니, 샤프 등 가전 3사는 올해 들어 1만 명 안팎의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등 수익성부터 만회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지만 적자에서 탈피하는 것만으로 회생할 수 있을 지에 대해 일본 내에서 조차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샤프의 경우 올 상반기 3875억 엔의 순이익 적자를 내면서 반년 만에 자기자본이 3분의 1로 축소됐다. 가자기본비율은 10%에 못 미친다.

소니의 경우도 지난 15일 9년 만에 전환사채(CB)를 발행해 1500억 엔을 조달한다고 발표했고 이 때문에 주가는 11%나 급락했다. 소니는 TV사업을 축소하고 스웨덴 통신기업 에릭슨과의 휴대전화 합작회사를 폐쇄한 후 종업원 15%를 감원하는 등의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이용우·화섬식품노조·건생지사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 정착돼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건생지사)는 28일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 주민에게 제대로 공개하고 이행점검을 위한 민관 지역협의체 구성을 의무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 발의 기자회견을 열고 “제대로된 배출저감제도가 정착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017년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2020년부터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가 시행됐다. 2021년부터 배출저감 대상물질 9종에 이어 2025년 올해부터 2029년까지 배출저감 대상물질 53종을 연간 1톤 이상 배출하는 30인 이상 업체는 환경부에 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서를 제출하고 매년 배출저감 이행실적을 해당 지자체로부터 점검받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2025년 4월 현재 배출저감계획서 제출 대상사업장은 전국 329개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1개로 가장 많았고 기초 지자체로는 경상남도 창원시가 21개로 가장 많았다. 이 사업장들은 제출한 배출저감계획서에 따라 매년 집행해야 하고 지자체는 사업장별 배출저감계획서를 주민에게 공개할 수 있고 사업장별 이행실적을 점검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