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8.1℃
  • 구름많음강릉 32.0℃
  • 구름많음서울 28.8℃
  • 흐림대전 28.2℃
  • 흐림대구 28.8℃
  • 흐림울산 27.1℃
  • 흐림광주 25.4℃
  • 흐림부산 25.2℃
  • 흐림고창 25.8℃
  • 제주 24.0℃
  • 구름많음강화 25.1℃
  • 구름많음보은 26.3℃
  • 흐림금산 26.7℃
  • 흐림강진군 24.3℃
  • 흐림경주시 29.6℃
  • 흐림거제 24.9℃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건축공사장 안전사고 방지위해 '안전등급제'로 촘촘히 관리한다

용인특례시, 건축공사장 138곳‘안전 등급제’로 관리 들어가
한때 공사중지 지역, 점검결과 미흡 등 위험도 평가…‘4개 등급’나눠 대응 체계화

용인지역내 건축공사장에서 일어나는 각종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등급제'로 촘촘히 관리해 나간다.

 

용인특례시가 한때 공사가 중지됐던 지역이나 점검결과 미흡 등 위험도 평가로 '4개 등급’으로 나눠 대응해 나가기 는 것이다.

 

▲시 관계자가 지난 5월 집중호우에 앞서 대형 건설공사 현장 안전점검을 하고 있는 모습 <용인특례시 제공>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지역 내 건축공사장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공사장 위험도를 4개 등급으로 나눠 체계적인 관리에 나섰다고 1일 밝혔다.

 

안전 등급제 관리 대상은 용인지역내 2000㎡ 이상 대형 공사장 138곳이다.

 

시는 4가지 항목으로 위험도를 평가해 상, 중, 하, 최하 4개 등급으로 분류한다. 
 
4가지 항목은 ▲공사 중지 이력이 있는 현장 ▲안전 점검 결과 미흡한 현장 ▲진정 민원이 발생한 현장 ▲위해요소가 큰 현장(산사태나 붕괴 위험이 큰 임야 현장과 흙막이 공사 현장, 터파기 공정 중인 현장, 지하굴착 깊이가 10m 이상인 현장, 경사도가 45도를 넘는 현장) 등이다. 

 

4개 항목에 모두 해당하는 공사장은 안전 등급 ‘최하’로 분류하고, 1개 항목에만 해당하는 공사장은 안전 등급 ‘상’으로 분류한다.

 

138개 관리 대상 공사장 중 ‘최하’로 분류된 공사장은 2곳, ‘하’는 8곳, ‘중’은 29곳, ‘상’은 99곳이다. 이렇게 분류한 정보는 관계 부서와 공유하고, ‘최하’ 등급 현장부터 집중 관리한다. 

 

지금까지는 공사 현장에 대한 기본정보는 물론 공사 민원이나 위험 이력을 소관 부서가 따로 관리해 신속하고 종합적인 대응이 어려웠다. 안전 등급제 통합 적용으로 공사현장의 안전 실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해가 발생했을 때 시의 각 부서가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용인특례시 이영기 건축과장은 “집중호우와 폭염 등 자연 재해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공사 현장의 위험도를 등급제로 나눠 안전하게 관리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현장 관계자들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갖도록 우수 현장을 모범사례로 선정해 각 공사장이 벤치마킹하는 제도도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윤대통령 장모 최은순씨, 27억원 과징금 취소 2심도 패소
윤석열 대통령 장모 최은순(77) 씨가 경기 성남시 도촌동 부동산 매입과 관련해 성남시 중원구청이 부과한 27억원대 과징금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소송 항소심에서도 패소했다. 수원고법 행정1부(노경필 차지원 이봉락 고법판사)는 14일 최씨가 중원구청장을 상대로 제기한 과징금 부과 처분 취소 소송 항소심에서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고 패소 판결을 한 1심을 유지했다. 앞서 성남시 중원구는 2020년 6월 부동산실명법을 위반한 이유로 최씨와 동업자 A에게 각각 과징금 27억3천여만원을 부과했다. 이에 최씨는 "문제의 부동산 실소유자는 다른 사람이고, 원고는 이들에게 명의신탁하지 않았다"며 "위법한 처분"이라고 소송을 제기했으나 1심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심 재판부는 "원고는 부동산실명법을 위반해 도촌동 부동산을 A씨 등에게 명의 신탁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고, 이를 전제로 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단된다"고 판시했다. 또 "원고가 주장하는 사정들을 모두 참작하더라도 이 사건 처분으로 달성하려는 공익에 비춰 원고가 받을 불이익이 중하다가 볼 수 없으므로 피고가 이 사건 처분을 한 것에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위법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