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정치


[M파워피플] 직무수행평가 1위 김영록 전남지사 … 민선7기 전남, 실업률↓·일자리↑ 성과

김영록 지사, “도민 제1주의, 도민 우선주의로 경청 먼저”

 

 

전국 17개 시·도지사를 상대로 한 직무수행 평가 조사에서 김영록 전라남도 도지사가 지난해부터 거듭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매달 진행하는 시·도지사 직무수행 평가에서 김영록 지사는 4월 2위로 내려간 적이 있지만 곧바로 5월 조사에서는 1위를 회복했다.

 

지난 20일 촬영된 ‘배종호의 M파워피플 초대석’에 출연한 김영록 전남 도지사는 이에 대해 “국회의원 시절부터 도민들께서 하고 싶은 말씀이 참으로 많다는 것을 느꼈다”면서 “도지사가 되고부터 도민 제1주의, 도민 우선주의를 원칙으로 우선 경청한다는 자세로 도정에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겸손한 입장을 밝혔지만, 실제 전라남도는 민선7기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취임 이후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1사분기 실업률은 떨어지고, 고용은 느는 등 구체적으로 성과가 나고 있다.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동기 대비 올해 1사분기에 전라남도는 실업률은 4.2%에서 2.8%로 떨어지고, 고용은 2만2천명이 늘어났다.

 

김영록 지사는 “지난해 7월 일선 시장·군수들과 모여 일자리 창출 상생협력 다짐을 하기도 하는 등 일자리 중심으로 도정을 운영했다”면서 “여기에 목포를 중심으로 서남권 조선산업이 회복추세에 있고, 여수 국가산단의 석유화학산업은 투자를 늘리는 등 고용이 조금씩 늘어났고 이런 부분에서 도민들께서 후한 지지를 보내주시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파워피플 초대석의 배종호 앵커는 김영록 도지사의 지난 1년 성과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연장사업, 경전선 기본계획 예산 확보, 신안 압해~화원 연도·연륙사업, 한전공대 유치 등 굵직한 이슈에 대해 김영록 도지사가 직접 답했다.

 

김영록 지사는 “첫 1년 출발은 나름대로 역할을 하긴 했지만, 지금까지 못했던 기본적인 것들을 해결하는 첫 단추를 푼 정도”라고 평가하면서 “아직 전라남도는 미래전략산업·관광개발 등 해야 할 일이 정말 많다”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M이코노미TV(https://tv.naver.com/mex01) 방송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