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알바생 76.3% “근로계약서 작성하고 일 한다”


아르바이트생들의 근로계약서 작성이 최근 3년 사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사람 10명 중 7명 이상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있었다.


24일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포털사이트 알바몬이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아르바이트생 2,528명을 대상으로 근로계약서 작성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6.0%가 근로계약서 작성이 고용주(기업)의 의무사항임을 알고 있었고, 이들 중 76.3%가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3년 조사 당시 22.3%였던 것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또한 2016년 63.0%, 2017년 64.7%, 2018년 76.3% 등 최근 3년간 근로계약서 작성 현황도 꾸준하게 증가했다.

직종별로는 ▲고객상담·텔레마케터가 90.1%로 가장 많았고, ▲사무보조 82.9% ▲IT·디자인 81.0% ▲운반·물류 87.0% 등 순으로 근로계약서 작성 비중이 높았다.


반면, ‘전단지 배포’ 아르바이트의 경우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아르바이트생 비율이 48.7%로 나타나 가장 낮은 비중을 보였고, ▲배당 50.0% ▲학원 강사 67.9% 등이 타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로계약서 작성 비중이 낮았다.


조사에 참여한 아르바이트생의 87.4%(매우 도움이 될 것 38.8%,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 48.5%)는 근로계약서 작성이 아르바이트 근로조건 및 근로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일한 아르바이트생들은 대부분 ‘고용주 측에서 근로계약서 작성을 요구하지 않아서(75.5%)’ 이를 작성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근로계약서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서(10.4%)’, ‘근로계약서를 잘 몰라서(7.0%)’ 등의 응답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고용주 측에서 근로계약서 작성을 하지 않을 경우 ‘근로계약서 작성을 요구해 보겠다’는 응답은 56.1%에 그쳤다. 나머지(40.9%)는 ‘그냥 수긍하고 일을 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포털사이트 알바몬이 구직자들의 임금체불 피해 방지를 위해 고액·상습 체불 사업주 명단 198건을 공개했다.


고용노동부는 공개기준일(매년 8월31일) 이전 3년 이내 임금 체불 등으로 2번 이상 유죄를 선고 받고, 기준일 이전 1년 이내 체불 총액이 3,000만원 이상이 체불사업주의 성명, 사업자명, 체불액 등을 열람 가능한 공공장소에 공개하고 있다.


이에 알바몬은 지난 2015년부터 직업안정법 제25조(직업정보제공사업자의 준수 사항)와 근로기준법 제43조의 2에 근거해 고용노동부가 공개한 체불 사업주 명단을 구직자가 알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있다.


알바몬에 공개된 체불 사업주 명단은 고용노동부 명단 공개 기간 기준에 맞춰 게재 후 3년간 노출된다. 현재 알바몬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 공개 페이지에서는 총 1,000건의 체불 사업주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알바몬 관계자는 “알바몬은 알바생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1년 2회 공개되는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을 모두 게재하고 있다”며 “아르바이트 구직 전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을 꼭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던 A기업, 실제 기부액 ‘0 원’
- 김 판매 A기업, “ 수익의 2% 독도경비대에 기부” 홍보 - 독도경비대는 공무원 신분 「 기부금품법 」 따라 기부 불가 - ‘독도의 날’ 마케팅 악용해 허위 홍보, “국민 기만행위 중단해야” 수산물 제품을 판매하는 A기업은 독도의 상징성을 내세워 올해 9월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보조배터리를 판매하며 “판매수익금의 2%는 독도경비대에 기부한다”고 언론을 통해 홍보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 한 푼도 기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업의 기부 사실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경찰청은 “A기업이 기부의사를 밝힌 바 없어 인지하지 못했던 상황이며, 독도경비대 대원 모두 공무원 신분이라 기부금품법에 따라 기부금품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향후 A기업이 기부 의사를 밝힐 경우에도 받을 수 없음을 설명하고 거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 기업은 독도경비대 기부 미납 실태에 대해 “보조배터리를 제조한 B기업이 독단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자사는 해수부가 문의한 오늘에야 인지했다”며 “B기업이 ‘독도경비대’와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