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9.6℃
  • 구름조금강릉 17.1℃
  • 맑음서울 19.5℃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19.6℃
  • 구름조금울산 19.0℃
  • 맑음광주 20.5℃
  • 맑음부산 21.0℃
  • 맑음고창 21.5℃
  • 흐림제주 22.0℃
  • 맑음강화 18.2℃
  • 맑음보은 18.2℃
  • 맑음금산 20.0℃
  • 맑음강진군 21.9℃
  • 구름많음경주시 18.6℃
  • 구름조금거제 19.6℃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경제


공정위, '하도급 대급 미지금' 등 갑질한 대림산업에 과징금 7억3,500만원 부과

3년 간 700여 개 하도급 업체에 14억9,600여만원 미지급

 

하도급 대금을 미지급하고 하도급 계약서를 지연 발급하는 등의 갑질을 한 대림산업(주)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시정명령을 내리고 과징금을 부과했다.

 

공정위는 18일 3년 동안 700여 개 하도급 업체에 하도급 대금, 어음대체결제수수료 등 2,897건 총 14억9,600여만원 지급하지 않는 등 불공정하도급거래행위를 한 대림산업에 대해 시정명령 및 과징금 7억3,500만원을 부과한다고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대림산업은 36개 수급사업자에게 38건의 하도급 거래를 하면서 하도급 계약서를 발급하지 않거나 공사 착공 후에 계약서를 발급했다.

 

또 338개 수급사업자와 1,359건의 하도급 거래를 하면서 하도급 계약서에 반드시 기재해야 하는 하도급 대금 조정과 관련한 사항과 하도급 대금 지급 방법 등이 누락된 계약서를 발급했다.

 

또 대림산업은 11개 수급사업자와 16건의 하도급 거래를 하면서 선급금을 법정 지급기일보다 늦게 지급했고, 이에 따른 지연이자 1억1,500만원을 지급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245개 수급사업자에 하도급 대금을 상환기일이 목적물 수령일부터 60일을 초과하는 어음대체결제수단으로 지급하면서 그 초과기간에 대한 수수료 7억9,000만원을 지급하지 않았다. 8개 수급사업자에게는 하도급 대금 4억9,300만원과 지연이자 4억원을 지급하지 않았다.

 

이외에도 대림산업은 발주자로부터 설계변경 등에 따른 도급금액을 증액받으면서 2개 수급사업자에게 하도급 대금 500만원을 증액해 주지 않았다고,  110개 수급사업자에게는 15일 이내에 그 증액 사유와 내용을 통지하지 않았다.

 

8개 수급사업자에게는 발주자로부터 추가금액을 지급받은 날부터 15일을 초과하여 추가 하도급 대금을 지급하면서, 그 초과한 날에 대한 지연이자 8,900만원도 주지 않았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다수 신고가 제기된 사업자에 대한 사건처리 효율화·신속화 방안'에 따라 3년간의 하도급 거래 내역을 정밀 조사하여 처리한 것"이라며 "향후 다수 신고된 사업자의 불공정한 하도급 거래 관행을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