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13.5℃
  • 구름조금강릉 15.2℃
  • 구름많음서울 17.9℃
  • 구름많음대전 18.3℃
  • 맑음대구 15.1℃
  • 맑음울산 15.9℃
  • 광주 17.5℃
  • 맑음부산 17.1℃
  • 흐림고창 17.9℃
  • 흐림제주 18.8℃
  • 구름많음강화 15.9℃
  • 구름많음보은 14.0℃
  • 흐림금산 14.4℃
  • 흐림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3.5℃
  • 구름조금거제 15.4℃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 경제레이더-동향】中企 신입사원 퇴사율 20%…절반 이상 ‘3개월 이내 퇴사’

어렵게 취업한 회사에서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사하는 신입사원이 5명 중 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3월12일 부터 18일까지 지난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중소기업 543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조기퇴사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입사한지 1년 이내에 퇴사한 신입사원이 있다’는 응답이 77.3%에 달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5곳 중 약 4곳 꼴로, 이들 기업이 밝힌 신입사원 조기퇴사율은 평균 20.2% 였다. 신입사원 조기퇴사자의 절반은 ‘입사 후 3개월 이내’에 회사를 떠났다. 조기 퇴사자의 근무기간을 조사한 결과 ▲입사 후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에 퇴사한 신입사원이 37.6%로 가장 많았고, ▲입사 후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이 27.6%, ▲입사 후 한 달 안에 퇴사한 신입사원도 17.6%나 됐다.

 

결국 신입사원 조기 퇴사자 중 ‘입사 후 3개월 이내’에 퇴사한 경우가 55.2%(17.6%+37.6%)로 절반 이상인 것이다. 인사담당자가 밝힌 신입사원 조기 퇴사자의 퇴사이유(복수 응답)는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 37.1% ▲조직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서 23.6% ▲연봉이 낮아서 22.6% 순이었다. 이외에는 ▲과도한 업무로 스트레스가 높아서(19.8%) ▲상사나 동료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서(19.0%) ▲복지제도에 만족하지 못해서(13.3%) 등도 뒤를 이었다.

 

신입사원 조기 퇴사자가 발생한 직무(복수응답)는 ▲영업·영업관리(30.2%)와 ▲ 생산/기술/현장직(30.0%)이 가장 많았다. ▲텔레마케팅·고객선터(14.5%) ▲판매서비스(12.6%) ▲마케팅·홍보(12.1%) 등으로 조사됐다. 신입사원의 조기퇴사를 막기 위해 기업들은 ▲선배의 멘토링 ▲복지제도 개선 ▲업무조정 등 다양한 제안을 한다고 답했다.

 

‘신입사원의 퇴사를 막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조사에 대해 ▲선배의 멘토링을 받을 수 있도록 제안한다는 답변이 응답률 21.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향후 복지제도가 개선될 것을 약속한다(19.0%)거나 ▲업무조정을 제안한다(17.3%) ▲직원의 역량강화 및 커리어 관리방안을 제시한다(13.8%) ▲원하는 부서로 이동을 제안한다 (12.9%) ▲연봉 조정을 제안한다(11.6%)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불법하도급, 임금착취·부실시공 원흉...건설현장 불법 바로잡아야”
민주노총 건설산업연맹과 윤종오 진보당 의원(국토교통위원회, 울산북구)은 8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건설노동자에 대한 임금착취, 일명 똥떼기와 불법하도급을 근절을 위해 정부와 국회가 적극 나서 줄 것을 요구했다. 건설산업연맹과 윤종오 의원은 지금 1주일째 건설노동자들이 하늘감옥에서 고공농성을 하고 있다며, 건설현장의 불법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2018년 2월경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민간건설공사 불법 똥떼기 추방을 청원하는 글이 게시된 바 있다”며 “그 후 매년 언론에서 민간공사, 공공공사 가리지 않고 건설현장 불법하도급과 임금 중간착취 소위 똥떼기 문제를 거론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에 맞춰 정부도 이를 근절하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불법하도급이 만연된 건설현장의 문제는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특히 “윤석열 정권 집권 이후 건설현장의 임금착취와 불법하도급은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두 명의 건설노동자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을 촉구하며 국회 앞 30미터 높이의 하늘 감옥에 스스로 갇혀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2년 광주 학동 붕괴사고는 평당 28만 원에 책정된 해체 공사비가 불법 다단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