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4 (금)

  • 구름많음동두천 18.0℃
  • 흐림강릉 10.0℃
  • 황사서울 18.2℃
  • 황사대전 16.6℃
  • 황사대구 12.8℃
  • 흐림울산 12.0℃
  • 황사광주 13.2℃
  • 흐림부산 12.8℃
  • 흐림고창 9.6℃
  • 제주 11.0℃
  • 구름많음강화 13.9℃
  • 구름많음보은 13.7℃
  • 구름많음금산 14.9℃
  • 흐림강진군 9.6℃
  • 흐림경주시 11.9℃
  • 흐림거제 12.8℃
기상청 제공

경제


기재부, ‘국유재산 개발·활용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15일부터 오는 9월16일까지 2개월간
국유지 59개소 총 13만㎡ 대상…일반 국민·전문가 부문 공모
대상 2건 등 총 16건 선정·시상, 상금 총 6,900만원

 

기획재정부는 ‘국유재산 개발·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을 오는 9월16일까지 2개월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2018년 국유재산 총조사 후속조치로, 총조사 결과 발굴된 국유지를 포함해 ▲도심 내 미활용 등 개발 필요성 ▲추진 용이성 ▲접근성 ▲지역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개발여건이 우수한 국유지 59개소(총 13만㎡)에 대해 국민의 아이디어를 수렴, 개발·활용하기 위해 기획됐다.

 

지난해 국유재산 총조사는 3월부터 12월까지 전체 199만 필지 행정재산을 대상으로 행정 목적 활용 여부 등 6개 항목에 대해 현장·드론·항공조사를 병행한 전수조사로 진행됐다.

 

 

공모대상지 59개소는 많은 국민이 관심을 갖고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도록 면적·입지별 다양한 부지가 선정됐다.

 

면적별로는 소규모(1,000㎡ 미만) 30개소, 중규모(1,000~1만㎡) 26개소, 대규모(1만㎡ 이상) 3개소다.

 

입지별로는 각 시·도(세종시 제외)마다 1개소 이상씩을 포함한다.

 

기재부는 도심지, 대학가, 주택가, 폐교부지, 해안지역 등 다양한 부지특성으로 분류해 다채롭고 창의적인 활용 방안이 제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공모전을 일반 국민 부문과 건축·도시·부동산·개발 관련 전공자 및 업무 종사자 등 전문가 부문으로 나눠 진행된다.

 

공모 주제는 ▲일자리 창출 ▲경제 활력 제고 ▲국민 삶의 질 개선 등을 위한 국유재산 개발·활용 방안으로, 응모작에 대해 ▲적합성 ▲실행 가능성 ▲효율성 ▲혁신성을 심사한다.

 

전문가 부문에 대해서는 ▲대상 1건(상금 2,000만원, 부총리 상장) ▲최우수상 2건(상금 1,000만원, 부총리 상장) ▲우수상 3건(상금 500만원, 캠코 사장 상장) 등 6건을 선정·시상하고, 일반인 부문은 ▲대상 1건(상금 500만원, 부총리 상장) ▲최우수상 2건(상금 200만원, 부총리 상장) ▲우수상 3건(상금 100만원, 캠코 사장 상장) ▲장려상 4건(상금 50만원, 캠코 사장 상장) 등 총 10건을 선정·시상할 예정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 국유재산 활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제고하는 한편, 향후 국유재산 개발·활용 정책에 국민의 소중한 의견을 적극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정황근 농림부 장관, 양곡관리법 본회의 통과 후 “대통령에 거부권 제안할 것”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3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하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에 대해 “대한민국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률안에 대한 재의 요구안(거부권)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부는 국회에서 의결된 법률안에 대해 그 뜻을 존중해야 하지만 이번 법률안은 그 부작용이 너무나 명백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해 9월 개정안이 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이후 정부는 지속적으로 개정안에 대한 부작용을 설명드리며 국회에 심도있는 논의를 요청드렸다“며 “많은 전문가도 개정안에 반대 목소리를 내왔으며 38개나 되는 농업인 단체·협회,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도 신중한 재고를 요청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야당 주도로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수정안도 의무 매입 조건만 일부 변경했을 뿐 정부가 가장 우려하는 남는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게 하는 본질적 내용은 그대로 남아 있다”며 “쌀 생산 농가와 농업 미래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변함없다. 그동안 계속 밝혀왔듯 (개정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