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3.7℃
  • 흐림강릉 8.7℃
  • 구름많음서울 6.7℃
  • 구름조금대전 7.7℃
  • 구름많음대구 5.6℃
  • 구름많음울산 7.0℃
  • 연무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9.1℃
  • 흐림고창 5.6℃
  • 구름많음제주 9.8℃
  • 구름많음강화 5.5℃
  • 흐림보은 5.6℃
  • 구름많음금산 7.5℃
  • 맑음강진군 7.8℃
  • 흐림경주시 7.2℃
  • 구름많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문화재청, 조선왕조실록 96책·최고(最古) 사리기 등 국보 추가 지정

조선왕조실록 누락본·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등

 

조선왕조실록 누락본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리기(舍利器) 등이 국보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25일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의 누락본 7책, 적상산사고본 4책과 오대산사고본 1책, 봉모당본 6책, 낙질 및 산엽본 78책 등 '조선왕조실록' 96책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리기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를 국보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 지정은 지난 2016년 문화재청이 국보 제151-1호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의 일부가 1973년 국보로 지정될 당시부터 누락됐다는 사실을 인지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에 소장된 실록을 추가로 확인해 이뤄졌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태조(太祖)부터 철종(哲宗) 때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의 편년식(編年式)으로 정리한 책으로 총 2,219책에 달한다. 조선왕조실록은 국제적으로도 가치를 인정받아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아울러 이번에 국보 제327호로 지정된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夫餘 王興寺址 出土 舍利器)는 지난 2007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백제 왕실 사찰인 왕흥사터(王興寺址)의 목탑지(木塔址)에서 발굴된 것으로,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사리기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리기는 부처나 승려의 참된 수행의 결과로 몸속에 생겼다는 구슬 모양의 유골(遺骨)인 사리를 보관한 용기다.

 

특히 왕흥사지 사리기는 6세기 전반 사리공예품의 대표작으로, 백제 왕실 공예품이라는 역사적․예술적 가치,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절대 연대를 가진 작품이라는 희소성과 뛰어난 작품성으로 우리나라 공예와 조형 예술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높은 작품이라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尹 탄핵심판 선고, 학생들도 생중계로 본다
광주·전남, 세종·충남 지역 학생들이 오는 4일 진행되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과정을 학교에서 생중계로 지켜볼 예정이다. 충남교육청은 2일 지역 학교 및 직속 기관에 '민주시민교육 연계 헌재 대통령 탄핵심판 TV시청 중계시청'이라는 제목의 안내 공문을 발송했다. 안내 공문에는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 대한 헌재의 TV중계가 예정돼 있다"며 "민주주의 절차와 헌법기관의 기능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민주시민교육에 활용하기 바란다"는 내용이 담겼다. 세종시교육청도 같은 날 지역 초·중·고등학교와 특수학교 등에 "민주시민교육을 연계해 학교별 자율적으로 탄핵 재판 생중계를 시청할 수 있다"며 "구성원의 의견과 학교장 판단에 따라 수업 시간 재판 시청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충남도교육청도 이날 지역 학교 및 직속 기관에 '민주시민교육 연계 헌재 대통령 탄핵심판 TV시청 중계시청'이라는 제목의 안내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에는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에 대한 헌재의 TV중계가 예정돼 있다"며 "민주주의 절차와 헌법기관의 기능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민주시민교육에 활용하기 바란다"고 적혀 있다. 전날 광주와 전남 교육청도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