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맑음동두천 6.9℃
  • 구름조금강릉 14.4℃
  • 박무서울 8.4℃
  • 구름많음대전 8.0℃
  • 맑음대구 9.1℃
  • 구름조금울산 9.5℃
  • 맑음광주 8.7℃
  • 맑음부산 13.1℃
  • 맑음고창 10.4℃
  • 흐림제주 20.1℃
  • 맑음강화 7.9℃
  • 구름조금보은 4.7℃
  • 구름조금금산 6.2℃
  • 구름조금강진군 7.5℃
  • 구름많음경주시 9.4℃
  • 맑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오늘은 중국의 날’ 서울광장에서 한눈에 보는 중국

2018 ‘서울-중국의 날’ 중국 문화·건축·경제·관광 등 체험부스 60여개
중국내 수산물가공 생산 1위 영성, ‘삼치물만두’ '천연다시마비료' 등 전시

 

21일 시청앞 서울광장에서 중국 전통공연 등 다양한 볼거리를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2018 제6회 서울-중국의 날’ 행사가 열리고 있다.

 

서울특별시와 주한중국대사관이 주최하고 주한중국문화원이 주관하는 이번행사는 올해로 6회째를 맞는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추궈홍 주한중국대사가 참석하는 개막식은 오후 2시에 열리지만 일찌감치 차려진 60여 개의 부스에는 오전 10시부터 지나는 사람의 발길을 잡아 세웠다.

 

60여 개 부스에서는 중국내 도시 별로 특색있는 모습을 보였는데,  다양한 제품은 물론 중국 소수민족 의상 체험, 중국서화 그리기, 홍등 만들기 등 문화체험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주한중국상공회의소와 중국주서울관광사무소가 준비한 중국내 기업‧금융‧관광 등 알찬 정보도 소개되고 있다. 유일하게 음식을 선보인 도시도 있다. 중국 산둥성 영성시는 태상그룹의 삼치물만두를 전시했는데 손님들의 관심이 높았다.

 

영성시 주한국대표처 왕홍위 수석대표는 “산둥성 영성시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중국내 청정도시로 품질좋은 수산물 생산을 자랑하는 도시”라며 “이번 행사에 선보이는 제품들을 한국국민에게 선보이면서 영성시를 제대로 소개하고 싶다”고 밝혔다.

 

 

영성시는 삼치물만두 말고도, 다시마 100%로 만든 천연비료, 해초 등 수산물로 만든 건강식품들을 선보였다.

 

이날 행사장을 찾은 한국의 조재성 영성시정부 경제고문은 “영성시는 대한민국과 그 어디보다 가까운 중국의 도시로,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중국내 수산물 생산량 1위를 자랑한다”면서 “아울러 500km가 넘는 해변 등 천혜의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중국내에서도 휴양·관광도시로 떠오르고 있는 도시”라고 소개했다.

 

부스를 관람한 서울 중구에서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는 한 여성 기업인은 “영성시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는 도시로는 알고 있었는데, 이런 제품들까지 만들어 내고 있는 줄은 몰랐다”면서 큰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한편 오후 2시 개막식은 박원순 서울시장과 추궈홍 주한중국대사가 용의 눈에 ‘화룡점정(畵龍點睛)’ 하는 것으로 행사가 시작돼 서울광장 중앙무대에서 다양한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중국문화공연은 주한중국문화원이 특별 초청한 쓰촨성 청두시 공연단의 눈 깜짝할 사이에 얼굴이 바뀌는 변검을 비롯해 전통악기, 군무, 노래 등이 이어지며 홍콩무용공연단, 태극권, 서커스, 고쟁연주 등 다양한 볼거리가 펼쳐진다.

 

 

박원순 시장은 축사를 통해 “중국에서 숫자 ‘6’은 ‘모든 일이 순조롭게 잘 되다(六六大顺)’라는 행운의 숫자로 여겨진다”면서 “올해로 제6회를 맞는 ‘서울-중국의 날’을 통해 양국 시민들이 함께 즐기고 어우러져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재협상으로 공정한 농업통상 길 찾아야”
전종덕 의원(진보당, 비례)과 국민과함께하는 농민의길, 진보당 농민당, 전국먹거리연대, 더불어민주당 이원택·문금주 의원이 15일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의실에서 트럼프 2.0시대 농업통상의 새로운 대안 모색 토론회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를 열었다. 전종덕 의원은 인사말에서 “우리 정부는 30년간 쌀 소비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며 농민들에게 재배면적 감축을 강요하지만, 정작 1995년에 WTO 의무 수입물량 기준이 되었던 1988~1990년 평균 국내 소비량이 절반 이상 줄었음을 이유로 통상국가들과 재협상을 요구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통상 환경과 현안이 비슷한 일본이 ‘WTO 회원국들과 쌀에 대한 재협상을 벌이겠다’고 한 것을 거론하며 농업은 상품 생산의 일부가 아니라 국민의 생존을 지키는 근본이며, 국가의 식량 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인 만큼 토론회를 통해 통상의 대안을 모색하고 식량주권을 지켜갈 공정한 농업통상의 길을 찾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발제는 ‘한국의 쌀 의무수입물량 감축 및 철폐를 위한 재협상 전략(AI 기반)’을 주제로 이해영 한신대 글로벌인재학부 교수가 맡았다. 이해영 교수는 “지난 세계화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