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1 (화)

  • 맑음동두천 3.1℃
  • 맑음강릉 14.5℃
  • 맑음서울 6.1℃
  • 맑음대전 6.5℃
  • 흐림대구 10.7℃
  • 흐림울산 11.7℃
  • 구름많음광주 11.1℃
  • 흐림부산 12.9℃
  • 구름많음고창 10.5℃
  • 제주 13.4℃
  • 맑음강화 5.2℃
  • 맑음보은 2.8℃
  • 맑음금산 4.4℃
  • 구름많음강진군 11.2℃
  • 구름많음경주시 8.9℃
  • 흐림거제 11.4℃
기상청 제공

사회


경찰, 'N번방' 포함 '디지털 성범죄 대응 '특별수사본부' 설치

박사방 조력자, 영상 제작자, 성 착취물 영상 소유 및 유포자 등 가담자 전원 수사
민갑룡 청장 "신상공개 검토 등 단호히 조치해 나갈 것"

 

경찰이 인터넷 메신저 텔레그램에서 미성년자를 포함한 여성들의 성 착취물을 제작해 유포한 이른바 'N번방' 사건과 같은 디지털 성범죄에 대해 특별수사본부를 설치해 엄정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민갑룡 경찰청장은 24일 청와대 국민 청원에 대한 답변에서 이같이 밝혔다.

 

민 청장은 이번 박사방 사건에 대해 "아동 청소년과 여성의 삶을 송두리째 앗아가는 잔인하고 충격적인 범죄"로 규정하고 "국민의 평온한 삶을 수호해야 하는 경찰청장으로서 국민 여러분의 우려와 분노에 전적으로 공감하며 책임을 통감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민 청장은 "엄정한 수사를 통해 디지털 성범죄의 무감각한 사회 인식을 완전히 탈바꿈시키고 우리 사회에서 더이상 디지털 성범죄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강력히 제거하겠다"고 강조했다.

 

민 청장은 "검거된 주범자 조주빈뿐만 아니라 박사방의 조력자, 영상 제작자, 성 착취물 영상을 소유·유포한 자들 가담자 전원에 대해서 경찰이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투입해 철저하게 수사하겠다"라며 "향후 수사가 마무리되면 관련 절차와 규정에 따라 국민의 요구에 어긋나지 않게 불법 행위자를 엄정 사법처리하고 신상공개도 검토하는 등 단호히 조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경찰은 이번 'N번방' 사건을 계기로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디지털 성범죄 특별수사본부'를 설치해 운영할 방침이다.

 

민 청장은 "6월 말까지 예정된 4대 유통망(텔레그램 등 SNS와 다크웹, 음란사이트, 웹하드 등) 특별단속을 연말까지 연장해 경찰의 모든 수사 역량을 투입해 집중 단속하겠다"라며 "또 더이상 해외 서버 등을 이유로 수사가 어렵다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인터폴, 미국의 연방수사국, 국토안보수사국, 영국의 국가범죄수사처 등 외국 수사기관은 물론 구글, 트위터,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 기업과의 국제공조도 한층 강화하겠다"라고도 했다.

 

민 청장은 "단속으로 찾아낸 범죄수익은 기소 전 몰수 보전제도를 활용해 몰수되도록 하고 국세청에 통보해 세무조사도 이뤄지도록 하는 등 범죄 기도를 원천 차단하겠다"라고 밝혔다.

 

민 청장은 "디지털 성범죄는 사람의 영혼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사회 공동체마저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다"라며 "이런 악질적인 범죄행위를 완전히 뿌리 뽑겠다는 각오로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해 생산자, 유포자는 물론 가담, 방조한 자도 끝까지 추적·검거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대통령실 “주 60시간, 尹 가이드라인 아니야”
대통령실은 20일 윤석열 대통령의 ‘주60시간 이상 무리’ 언급에 대해 “그렇게 일하는 것 자체가 힘들지 않겠냐는 생각에서 말씀한 것이지 (근로시간 개편) 논의 가이드라인을 주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캡(상한선)을 씌우는 게 적절하지 않으면 윤 대통령이 굳이 (캡을) 고집할 이유는 전혀 없다. 여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말씀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근로시간 개편 관련) 의견을 수렴해 60시간이 아니고 더 이상 나올 수도 있다”며 ‘최대 주 69시간제’가 포함된 현행 근로시간 개편안을 철회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안상훈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지난 16일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연장근로를 해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인식을 갖고 있고 적절 상한 캡을 씌우지 않은 것에 대해 보완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대통령실 설명으로 해당 발언은 충분한 여론 수렴에 방점이 있지 60시간 자체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취지에서 나온 것으로 읽혀지게 됐다. 실제 이날 고위 관계자는 “바꾸고자 하는 제도(근로시간 개편안)로 가더라도 급격한 장시간 근로를 할 가능성은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