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4 (금)

  • 구름조금동두천 10.5℃
  • 맑음강릉 8.4℃
  • 황사서울 11.5℃
  • 황사대전 11.2℃
  • 흐림대구 14.9℃
  • 흐림울산 12.6℃
  • 황사광주 9.7℃
  • 구름많음부산 14.2℃
  • 흐림고창 7.5℃
  • 황사제주 11.6℃
  • 구름조금강화 9.5℃
  • 구름많음보은 9.7℃
  • 흐림금산 11.0℃
  • 흐림강진군 10.0℃
  • 흐림경주시 12.6℃
  • 흐림거제 14.7℃
기상청 제공

사회


대학생‧취준생이 가장 가고싶은 공기업은 ‘인천국제공항공사’

공기업 최고의 장점은 ‘고용 안정성’

 

올해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들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공기업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꼽혔다.

 

잡코리아는 23일 최근 대학생 및 취준생 1,750명을 대상으로 ‘공기업 취업선호도’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 인천국제공항공사(32.3%)가 올해 가장 취업하고 싶어하는 공기업 1위에 올랐다. 2위를 차지한 한국전력공사와는 13%P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성별, 최종학력 등 모든 응답군에서 1위에 꼽아 눈길을 끌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두드러진 응답군은 여성이었다. 여성 그룹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를 택한 응답은 무려 38.5%로 나타났다. 2위는 한국공항공사(20.0%)가 차지한 가운데 △한국전력공사(15.1%), △한국철도공사(14.6%), △한국도로공사(13.2%)가 차례로 5위 안에 올랐다.

 

남성이 가장 취업하고 싶어하는 공기업 1위 역시 인천국제공항공사(25.3%)가 차지했다. 2위는 한국전력공사(22.9%), 3위는 한국철도공사(21.4%)가 각각 차지했다. 이어 한국도로공사(16.4%), 한국가스공사(14.6%)가 취업하고 싶은 공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응답자의 최종학력에 따라서도 선호 공기업의 순위가 갈렸다. 먼저 4년제 대졸자(재학생)는 인천국제공항공사(33.5%)에 이어 △한국전력공사(20.7%) △한국공항공사(18.6%) △한국철도공사(17.0%) △한국도로공사(14.8%)를 가장 취업하고 싶은 공기업으로 꼽았다.

 

전문대졸(재학생)의 경우 인천국제공항공사(32.6%)에 이어 한국철도공사(17.0%)가 2위를 차지했다. 이어 한국공항공사와 한국가스공사가 각각 15.3%로 공동 3위에 올랐고, 한국전력공사(14.8%)가 그 뒤를 이었다.

 

고졸자가 가장 취업하고 싶어하는 공기업은 인천국제공항공사(27.9%)였고, 이어 △한국철도공사(21.6%) △강원랜드(19.6%) △한국전력공사(17.3%) △한국가스공사(15.6%) 순이었다.

 

그렇다면 취준생들이 생각하기에 공기업이 직장으로 갖는 가장 큰 매력은 무엇일까 

 

설문결과 ‘고용안정성, 정년 보장(58.6%)’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비교적 높은 연봉수준(13.7%)’과 ‘안정적인 사업전망(13.3%)’도 공기업이 갖는 매력이었다. 이밖에 △워라밸 보장(5.1%) △블라인드채용 등 열린 채용기회(4.3%) △사회에 이바지한다는 자부심(2.6%) 등의 응답도 뒤따랐다.

 

반면 공기업이 직장으로서 갖는 단점으로는 ‘지방근무(27.3%)’와 ‘경직되고 보수적인 조직문화(25.7%)’가 1, 2위를 다퉜다. ‘대기업 대비 낮은 연봉(14.2%)’이나 ‘직무 순환(9.8%)’, ‘낮은 직무 성장 기회(7.9%)’도 공기업이 갖는 단점들로 꼽혔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정황근 농림부 장관, 양곡관리법 본회의 통과 후 “대통령에 거부권 제안할 것”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3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하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에 대해 “대한민국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률안에 대한 재의 요구안(거부권)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부는 국회에서 의결된 법률안에 대해 그 뜻을 존중해야 하지만 이번 법률안은 그 부작용이 너무나 명백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해 9월 개정안이 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이후 정부는 지속적으로 개정안에 대한 부작용을 설명드리며 국회에 심도있는 논의를 요청드렸다“며 “많은 전문가도 개정안에 반대 목소리를 내왔으며 38개나 되는 농업인 단체·협회,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도 신중한 재고를 요청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야당 주도로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수정안도 의무 매입 조건만 일부 변경했을 뿐 정부가 가장 우려하는 남는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게 하는 본질적 내용은 그대로 남아 있다”며 “쌀 생산 농가와 농업 미래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변함없다. 그동안 계속 밝혀왔듯 (개정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