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4.2℃
  • 맑음강릉 16.2℃
  • 맑음서울 14.5℃
  • 맑음대전 15.5℃
  • 맑음대구 15.0℃
  • 맑음울산 16.1℃
  • 맑음광주 14.9℃
  • 맑음부산 16.3℃
  • 맑음고창 15.3℃
  • 구름조금제주 16.0℃
  • 맑음강화 13.2℃
  • 맑음보은 14.1℃
  • 맑음금산 14.4℃
  • 맑음강진군 16.0℃
  • 맑음경주시 14.9℃
  • 맑음거제 13.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2일 토요일

메뉴

정치


이재명 "한국당 삼척동자도 알 뻔한 거짓말 한다”

자유한국당에 공개해명 사과 요구


이재명 성남시장이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자유한국당에 공개해명 사과를 요구하며 불응 시 김성태, 최교일 의원 등 관련자에게 법적책임을 묻을 것이라고 적었다.

 

한국당이 성남FC 광고매출과 최순실의 미르재단 기부후원이 동일하다며 고발하는 것도 모자라 공개석상에서 끊임없이 거짓말로 음해하고 있다고 적은 이 시장은 한국당은 삼척동자도 알 뻔한 거짓말을 한다며 네이버가 성남FC를 직접 후원하나 주빌리 은행을 통해 간접후원하나 세금은 같다고 설명했다.

 

또 세무사에 전화 한통만 해도 알 일을 의혹 부풀리기를 위해 악의적으로 탈세의혹을 제기했다고 비판하며 주빌리은행, 두산과 차병원 등은 성남FC 스폰서(광고)계약에 따라 광고를 표출하고 광고비를 준 것인데 기부라고 거짓말을 한다고 꼬집었다.

 

기자회견으로 공개한 4자공식합의대로 투명하게 이행된 것을 '자금세탁'이라는 황당 주장을 하고 있다고 비판한 이 시장은 만인에게 공개하는 자금세탁도 있나면서 (한국당이)자기 발등 찍는 자가당착적 주장을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경남FC 구단주, 유정복 시장은 인천유나이티드 구단주로 수년간 관내기업에게 후원을 받았다고 지적한 이 시장은 기업에 후원 요청도 하지 않은 성남FC 구단주가 고발대상이면 후원받았다고 자랑하는 한국당 대표나 지방세 감면해 준 기업에서 후원받은 유 시장은 구속될 일이 아닌가?”라며 되물었다.

 

미르재단 후원은 적법하고 최순실도 문제없다더니 갑자기 최순실 미르재단 운운하며 문제 있다는 건 자백하는 것이냐며 성남FC 미르재단이 같다는 무뇌성 억지주장을 하는데 성남 FC와 미르재단은 이렇게 다르다고 일축했다.

 

이 시장은 집단지성을 가진 유기체로 진화한 국민은 1억 개의 눈과 귀, 5천만 개의 입으로 판단하고 행동한다면서 전처럼 국민을 개돼지 취급하며 거짓말과 편 가르기 선동질로 국민을 속이려하는 한 당신들이 설 자리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 시장은 검사출신이라는 최교일 의원이나 법률가로 구성된 제1야당 법률지원단이 이 정도도 모를 리 없다. 악의적이고 상습적인 거짓말에 대한 공개해명과 사과를 요구한다고 며 적절한 해명과 사과가 없으면 최교일, 김성태 의원에 대해 법적조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