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0 (월)

  • 맑음동두천 8.1℃
  • 구름조금강릉 14.8℃
  • 맑음서울 9.5℃
  • 구름많음대전 10.9℃
  • 구름많음대구 14.2℃
  • 구름많음울산 12.3℃
  • 구름많음광주 12.3℃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고창 6.8℃
  • 흐림제주 14.3℃
  • 맑음강화 3.9℃
  • 구름많음보은 10.9℃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9.7℃
  • 구름많음경주시 13.0℃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정치


문 대통령 "정부 힘만으론 부족"…코로나19 극복 '연대·협력' 강조

18일 '주요 경제주체 초청 원탁회의'
" '마음의 거리' 더욱 좁힐 때"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 침체 극복과 관련해 "정부의 힘만으론 부족하다. 우리 경제의 핵심 주체들이 '연대와 협력의 힘'으로 위기 극복의 주역이 되어 주시길 간곡히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주요 경제주체 초청 원탁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경영계와 노동계, 중소·중견기업, 벤처·소상공인, 수출·서비스업, 금융계와 소비자단체 등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아주 엄중한 상황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보건 위기와 경제 위기가 한꺼번에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라며 "더 크게 걱정되는 것은 경제다. 그리고 민생이다. 몇몇 분야가 아니라 전 산업 분야가 위기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정부가 내수·소비 진작책을 담은 20조 원 규모의 '민생경제 종합대책'에 더해 11조7,000억 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지만, 문제는 우리만 잘 극복한다고 해결되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전례 없는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는 수요와 공급의 동시 충격, 실물과 금융의 복합 위기를 야기하고 있다"라며 "전 세계가 함께 겪고 있는 문제라 경제 위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과거 경제 위기 사례와 양상이 전혀 다르다"고 했다.

 

또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극복에 있어 국내외 '연대'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은 보건과 경제 모두 글로벌 공조가 절실하다"라며 "'G20 화상 정상회의'를 주요국에 제안한 것도 그 이유 때문이다. 우선 당장은 각국이 방역 때문에 입국 제한조치를 취하더라도 최소한 기업인들의 국가 간 이동은 허용토록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연대와 협력의 힘'을 믿는다"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의료진과 민간 자원봉사자들이 최전선에서 바이러스와 사투를 벌이고 있다. 국민은 스스로 방역 주체가 되어 힘을 모으고 있다"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기업과 은행, 종교계는 생활치료센터 활용을 위해 연수원과 종교시설을 자발적으로 제공하고, '착한 임대료 운동'도 전국 곳곳으로 확산하고 있다"라며 "경사노위에서 노동계와 경영계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노사정 선언문'을 발표해 고통을 나누며 함께 이겨 나가기로 결의했다. 벤처·스타트업 업계는 신속 진단키트 개발과 ‘코로나맵’, ‘마스크맵’ 같은 정보 제공으로 방역 당국의 짐을 덜어주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어둠 속에 더욱 빛나는 우리 국민의 저력"이라며 "지금 우리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고 있지만, '마음의 거리'는 더욱 좁힐 때다. 정부는 '방역이 최선의 경제 대책'이라는 생각으로 감염병의 확산을 차단하고, 경제를 지켜나가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대통령실 “주 60시간, 尹 가이드라인 아니야”
대통령실은 20일 윤석열 대통령의 ‘주60시간 이상 무리’ 언급에 대해 “그렇게 일하는 것 자체가 힘들지 않겠냐는 생각에서 말씀한 것이지 (근로시간 개편) 논의 가이드라인을 주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캡(상한선)을 씌우는 게 적절하지 않으면 윤 대통령이 굳이 (캡을) 고집할 이유는 전혀 없다. 여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말씀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근로시간 개편 관련) 의견을 수렴해 60시간이 아니고 더 이상 나올 수도 있다”며 ‘최대 주 69시간제’가 포함된 현행 근로시간 개편안을 철회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안상훈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지난 16일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연장근로를 해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인식을 갖고 있고 적절 상한 캡을 씌우지 않은 것에 대해 보완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대통령실 설명으로 해당 발언은 충분한 여론 수렴에 방점이 있지 60시간 자체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취지에서 나온 것으로 읽혀지게 됐다. 실제 이날 고위 관계자는 “바꾸고자 하는 제도(근로시간 개편안)로 가더라도 급격한 장시간 근로를 할 가능성은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