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2 (금)

  • 구름많음동두천 18.8℃
  • 맑음강릉 25.4℃
  • 흐림서울 18.5℃
  • 구름많음대전 21.6℃
  • 구름조금대구 23.4℃
  • 맑음울산 23.5℃
  • 맑음광주 21.9℃
  • 맑음부산 24.3℃
  • 구름많음고창 20.5℃
  • 흐림제주 20.4℃
  • 구름많음강화 18.2℃
  • 흐림보은 21.3℃
  • 구름많음금산 21.5℃
  • 구름많음강진군 22.3℃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제 22.8℃
기상청 제공

정치


[리얼미터] 문 대통령 국정 지지율, 중도층 결집으로 상승…47.6%

부정평가 2.5%p 내린 48.3%, 민주당 39.0%·한국당 32.9%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중도층이 결집하며 40%대 후반대로 올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2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은 0.7%p 오른 47.6%를 기록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2.5%p 내린 48.3%였다. '모름·무응답'은 1.8%p 증가한 4.1%였다.

 

리얼미터는 "중도층에서 결집하며 소폭 올랐다. 이러한 변화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한·메콩 정상회의 등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대규모 다자·양자 정상외교 소식이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라고 설명했다.

 

이념성향별로 보면 중도층의 긍정평가가 43.2%에서 49.1%로 오른 반면 부정평가는 54.5%에서 47.6%로 떨어졌다. 이는 약 4개월 만에 처음으로 중도층에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를 앞선 것이다.

 

진보층의 긍정평가는 78.4%에서 77.1%로 떨어졌고, 보수층 부정평가도 81.8%에서 79.9%로 하락하며 문 대통령의 국정에 대한 진보·보수 진영별 양극화가 다소 약화됐다.

 

세부 계층별로는 중도층, 50대와 20대, 호남과 대구·경북(TK), 서울에서는 상승한 반면, 부산·울산·경남(PK), 진보층과 60대 이상에서는 소폭 하락했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무당층이 감소하고 정의당과 바른미래당이 하락한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나란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은 일주일 전 조사 대비 1.7%p 오른 39.0%로 한 주 만에 반등했다. 민주당은 중도층과 진보층, 20대와 50대, 40대, 대구·경북(TK)과 경기·인천 등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상승했다. 보수층과 충청권에서는 하락했다.

 

한국당 역시 2.6%p 오른 32.9%로 지난 2주 동안의 하락세를 마감하고, 30%대 초중반으로 반등했다. 한국당은 보수층과 진보층, 60대 이상과 40대, 30대, 충청권과 부산·울산·경남(PK), TK, 서울, 호남 등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상승했다. 20대는 하락했다.

 

핵심이념 결집도를 보면 민주당은 진보층이 64.1%에서 65.8%로 올랐고, 한국당은 보수층이 63.2%에서 66.4%로 오르며 양당의 핵심이념 결집도가 60%대 중반에서 팽팽했다.

 

중도층에서는 양당의 희비가 엇갈렸다. 민주당은 34.6%에서 40.0%로 상승한 반면, 한국당은 28.4%에서 28.9%로 떨어졌다. 양당의 중도층 지지율 격차는 6.2%p에서 11.1%p로 벌어졌다.

정의당은 0.7%p 내린 6.5%, 바른미래당 또한 1.1%p 내린 4.7%, 우리공화당은 0.2%p 오른 1.8%를 기록했다. 민주평화당은 0.5%p 내린 1.6%였다.

 

이번 국정 수행 지지율 여론조사는 YTN의 의뢰로 지난달 25일부터 29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 응답률은 4.8%다. 그 밖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산업계 탄소중립 실천, "통상법 국제규범에 맞춰야”
산업계가 탄소중립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내 통상법을 국제규범에 맞추고 역외기업(域外企業) 차별 요소 해소를 정부가 관련국과 협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열린 「2023년 상반기 탄소중립 K-Tech 포럼」에서 발제를 맡은 김성우 김앤장 환경에너지연구소장은 “전기차나 재생에너지발전기 등 친환경제품 공급망은 탄소발자국이 중요하다”며 전기차와 철강업계에 보조금을 지급한 프랑스와 독일 사례를 언급했다. 김 소장은 “프랑스는 전기차 보조금 요건을 명시한 녹색산업법안을 제정했고, 이로 인해 중국보다 탄소를 50% 덜 배출하고 있다”면서 “독일은 잘츠기터(독일 철강 생산업체)의 그린수소환원철 프로젝트로 탄소배출권 비용을 절감했고, 이에 잘츠기터에 정부지원금 지급과 전기료 80% 삭감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종훈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이사는 “연구소를 보유한 (국내 소재) 866ro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 및 연구개발(R&D) 추진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38.3%가 현재 탄소중립 정부 정책이 충분히 도움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며 정부 차원의 적절한 탄소중립 지원사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