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9℃
  • 맑음강릉 7.8℃
  • 맑음서울 5.0℃
  • 맑음대전 3.5℃
  • 맑음대구 5.7℃
  • 맑음울산 7.5℃
  • 맑음광주 5.9℃
  • 맑음부산 10.2℃
  • 맑음고창 2.0℃
  • 맑음제주 9.0℃
  • 맑음강화 4.4℃
  • 맑음보은 1.0℃
  • 맑음금산 1.6℃
  • 맑음강진군 2.7℃
  • 흐림경주시 4.3℃
  • 맑음거제 7.0℃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메뉴

사회·문화


알바생 36.2% “나는 생계형 알바”

희망소득 97만5,000원, 실소득 79만8,000원…18만 차이


아르바이트생 10명 중 4명은 자신이 ‘생계형 아르바이트생’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벌어들이는 월 소득은 79만8,000원으로 희망하는 월 소득 97만5,000원보다 약 18만원 적었다.


19일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은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아르바이트생 3,315명을 대상으로 ‘아르바이트 목적’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응답자들은 36.2%는 ‘나는 생계형 아르바이트생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아니다’는 응답은 27.4%였고, ‘반반’이라는 응답은 36.4%였다.


아르바이트를 하는 가장 큰 이유에 대해 자신이 생계형 아르바이트생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은 ‘생활비를 벌기 위해(41.3%)’를 가장 많이 꼽았다.


반면, 자신이 생계형 아르바이트생이 아니라고 답한 응답자들은 ‘용돈을 벌기 위해서(68.2%)’가 압도적으로 많은 응답을 차지한 가운데, ‘반반’이라고 답한 응답 그룹에서도 ‘용돈벌이’가 58.0%의 응답률을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용돈벌이 51.8% ▲생활비 마련 19.2% ▲등록금·여행자금 등 특정 목적의 자금 마련 14.4% ▲부모님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7.7% 등을 목적으로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답했다.


자신이 생계형 아르바이트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더 피곤하고 힘들더라도 일단 급여가 높은 아르바이트를 찾는(53.4%, 복수응답)’것이 다른 아르바이트생들과의 차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41.5%는 ‘오래 일하기 위해 더 책임감 있게 일한다’고 답했고, ‘더 급여가 높은 아르바이트가 없는지 아르바이트 중에도 구직을 멈추지 않는다’는 답변도 38.8%를 차지했다.


이밖에 ▲부당하다고 느껴지는 일도 묵묵히 견딘다(27.1%) ▲수당이 높은 연장·심야·주말 근무를 환영한다(26.3%) ▲아르바이트 하나로 끝나지 않고 다른 아르바이트를 더한다(15.9%) ▲숙식 제공·복리후생 등 덤이 있는 아르바이트를 찾는다(9.5%) 등의 답변이 있었다.


알바몬은 실제로 아르바이트를 구할 때도 생계형 아르바이트생과 비생계형 아르바이트생들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아르바이트를 구할 때 ‘더 중요한 기준’과 ‘덜 중요한 기준’을 각각 물은 결과 생계형 아르바이트 여부에 따라 순위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생계형 아르바이트 그룹에서는 ‘급여를 많이 주는 일인가’가 28.6%로 1위를 차지했고, 2위는 ‘안정적으로 오래 일할 수 있는가(20.5%)’, 3위는 ‘출퇴근 거리는 적정한가(15.9%)’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비생계형 아르바이트 그룹에서는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인가(20.2%)’와 ‘부당대우 없이 인격적인 대우를 받을 수 있는 분위기인가(20.0%)’가 근소하게 1, 2위를 차지했고, 급여는 17.2%로 3위에 그쳐 생계형 아르바이트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고려요소였다.


아르바이트를 구할 때 덜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생계형 아르바이트 그룹의 경우 ‘업무내용이 재미있거나 특별한가(19.0%)’였지만, 비생계형 아르바이트 그룹은 ‘취업에 도움이 되는 일인가(21.7%)’였다.


한편, 아르바이트생들은 아르바이트를 통해 한 달에 84만5,000원을 벌기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실제로 받고 있는 월 평균 소득은 68만9,000원으로, 희망소득보다 15만6,000원 덜 벌고 있었다.


희망소득이 가장 높은 그룹은 생계형 아르바이트 그룹으로 97만5,000원을 희망했지만, 실제 소득은 이보다 17만7,000원 적은 79만8,000원이었다.


비생계형 아르바이트 그룹은 70만9,000원을 희망했고, 실 소득은 59만원이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넷마블, 22일 외부 해킹 공격으로 개인정보 유출
국내 대표 게임사 중 하나인 넷마블에서 22일 해킹 공격을 받아 고객 일부 개인정보와 PC방 가맹점주의 일부 개인정보, 일부 전현직 사원의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이 유출됐다. 이번 해킹 피해는 PC 게임 사이트에서 발생해 온라인 게임보다는 PC 게임 사이트 이용 고객이 더 컸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PC 게임은 △바둑 △장기 △마구마구 △사천성 △야채부락리 △윷놀이 △캐릭챗 △당구/포켓볼 △모두의 마블 등 총 18종이다. 장르를 가리지 않고 거의 대부분의 게임에서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다만 모바일 게임 및 넷마블 런처 게임은 피해가 없었다. 넷마블 측 홈페이지에 올린 사과문에서 “PC 게임 사이트의 고객 정보와 2015년 이전 가맹 PC방 사업주 정보, 일부 전현직 임직원 정보가 유출됐다”며 “사실을 인지한 즉시 관계기관에 즉시 신고했다”고 밝혔다. 현재 넷마블 측은 유출 원인과 규모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 사과문에 따르면 현재까지 조사된 바로는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 고유식별번호나 민감정보 유출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 유출된 비밀번호는 넷마블 측에서 암호화해 보관 조치를 해 해당 정보만으로는 악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넷마블